상세보기

Solar Cell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움직임 확인 Solar Cell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움직임 확인 관리자 기자입력 2008-03-27 18:41:39


본지 1월호에 소개했듯이 로봇 어플리케이션의 새 지평을 연고 있는 ‘Solar Cell’. 같은 달 이와 관련한 전문전시회(Photovoltaic Technology Show 2008)가 중국에서 개최되었다.
솔라 셀 및 모듈 생산메이커를 통해 로봇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시장트렌드를 재빨리 읽은 Adept는 로봇기업으로서 유일하게 참가해 관심을 모았고, 이와 함께 Solar Cell 시장을 향한 세계 각국의 움직임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였다.
이 전시에 참가한 아뎁트코리아의 이중엽 대표의 눈을 통해 그 분위기를 전한다.

<편집자 주>




세계적 관심 모으는 Solar Cell 전문전시… 한국기업 참가율 0%

지난 1월 16일에서 18일까지 중국 Shenzhen에서 그동안 유럽에서만 개최해온 「Photovoltaic Technology Show」를 주관사인 ‘Photon-Expo’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Solar Cell 시장의 급성장에 영향을 받아 올해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중국 Shenzhen에 소재한 SZCEC 전시장에서 「Photovoltaic Technology Show」를 개최하였다.


중국, 독일, 미국을 비롯한 12개국에서 80여 기업 및 단체가 참가하였으나 우리나라 기업은 한 곳도 부스 출품하지 않았으며, 일본은 대부분 자국 내 개최되는 별도의 「PV-Expo」에 참가하고 있어 약 5개 메이커만 출품하였다.


그에 비해 국내의 Solar Cell 관련 제조메이커, 장비 및 기술, 소재 관계자 및 학자들은 전시와 병행하여 열린 학술 Conference 및 Seminar에 많이 참관하여 국내의 Solar Cell 산업의 열기를 이곳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캐나다, 대만, 스위스, 프랑스, 스페인, 헝가리, 네덜란드, 이태리, 우크라니아 등 세계 각국에서 모인 기업들은 제조장비 및 소재, 검사시스템 등을 중국 Shenzhen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며 대규모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는 중국 내 고객을 확보코자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는 별도로 주성엔지니어링을 비롯한 국내의 Solar Cell 관련 기술 및 장비 업체는 2월 27일 부터 29일까지 일본 동경의 Big Sight 전시장에서 개최된 일본중심의 Solar Cell 전시회인 「PV EXPO 2008」(Reed Exhibition Japan이 주관)에 단독 출품한 바 있다.


Solar Cell 분야 개척하는 Adept… 로봇업체로 유일한 참가

로봇을 출품한 부스는 Adept Technology가 유일했으며, 특히 신제품인 Adept Quattro 4-leg 형태의 메커니즘 및 컨베이어 트래킹을 조합한 Solar Cell의 고속도 이송 및 외관검사 시스템이 큰 주목을 끌었다.


이 전시회에서 출품된 제품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Devices & Materials : Monocrystalline/Polycrystalline Silicon, Module Substrates, Amorphous Silicon, Composite Semiconductors, Electrodes, Interconnect Materials


·Evaluation, Testing & Analysis : Cell Measurement Machine, Temperature Gauges/Actinometers, Electrochemical Measuring Machine, Spectral Sensitivity Measurement, Optical Irradiation Machine, Substrate Inspection machine


·Manufacturing Equipments : Melting Furnace/Diffusion Furnace/Mold, Wafer Purifying Apparatus, Surface Processing Machines/CVD Machines, Module Assembler, Weld Process/Soldering Machine, Wafer Manufacturing Machine


·Systems : Junction Boxes/Bypass Devices, Accumulators/Electric Storage Devices, Distribution Boards, Protective Relays, Power Conditioners


·Clean/ESD Protection : Clean Room/Booths, Air-conditioning Facilities, ESD Protection Devices, Particle Counters, Clean Roller/Robber Roller, Aspetic Suits


·Solar Cell/Module : Monocrystalline Solar Cell/Modules, Thin Film Solar Cell/Module, Polycrystalline Solar Cell/Modules, Dye-sensitised Solar Cell, Amorphous Solar Cell/Modules, Other Solar Cell / Modules



Solar Cell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세계의 움직임

참가 국가별 주요 메이커를 살펴보면 REC(노르웨이), ORKLA(노르웨이), MEMC(US), WACKER(독일), Q-CELLS(독일), FIRST SOLAR(US) 등이 있었고,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중국은 NASDAQ 상장사인 JA(JinAo) Solar, NYSE 상장사인 LDK, 그리고 ReneSola에서 Solar Wafer 및 공정 등을 소개하였고, 그 외 ANWELL, TRINA, EAG, GoldPoly, SevenStar, GSM Solar 등 25개사가 출품하였다.


·독일


독일은 Solar Cell 산업 및 장비의 강국답게 약 20개사가 전시 참가했는데, ATM Vision 및 Basler에서 Solar Cell의 크랙 검사 비전 시스템 및 솔루션을, 그리고 국내에 Solar Cell 제조 In-line 턴키 장비를 공급하고 있는 SCHMID, CENTROTHERM을 비롯하여 RENA, SCHILLER, Berger, Sterling社 등이 나왔다.


·미국


미국은 대형 Solar Cell Ingot 생성장비 및 국내에도 설치된 Tabber/Stringer 장비공급사인 GT Solar를 비롯하여 Solar Cell 핸들링용 로봇 공급 Adept Technology, 그리고 Laser 제조사인 Coherent 등 Spire, SIERRA등 15개사 정도가 참가하였다.


·일본


일본은 Module Product line공급사인 Nisshinbo, SHIMADZU를 포함하여 아주 적은 5개사만 전시하였다.




로봇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증대되는 Solar Cell

전체적으로 본 전시회를 통하여 Poly-Silicon의 부족 상황과 함께 매년 50~80%씩 증가하고 있는 장비의 수요 과잉에 따른 납기의 지체가 보통 1~2년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로봇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또한 증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 예로 40MW Turnkey-Module Assembly의 9개 공정 가운데 Glass Loading, Tabbing+Stringing, Edge Trimming, Framing, Sun Simulation의 5개 공정은 모두 로봇에 의한 핸들링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십수년 전 국내반도체 산업에서와 같이 우선은 Turnkey In-line 장비를 해외에서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Solar Cell 제조사의 요구를 고려한 일부 공정의 개선 및 국산화를 진행한다면, 멀지 않아 제조 공정 장비 및 로봇 등 유닛은 국내에서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국내 설치 사례를 바탕으로 중국 등의 해외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자료제공 : 아뎁트코리아 이중엽 대표 (jasonlee@adept.co.kr)

관리자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
  • 자동등록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