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기술> Robot Policy
<메인> 로보티즈 재난구조 휴머노이드 로봇 똘망(THOR-MANG)
‘제2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수립중!
국내 로봇 정책과 연구개발 투자의 현주소는?
<편집자주>
2013년은 재난대응 로봇의 개발과 같은 공공분야 로봇활용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된 한 해였기도 했고, 구글의 공격적인 로봇기업 인수와 일본 생활지원로봇의 안전인증 취득, 사이버다인의 상장, 소형무인비행 로봇 활용 비즈니스모델 발표 등 로봇시장 진출에 대한 적극적인 행보가 이어진 해였기도 하다.
우리 정부도 공공분야 활용 촉진과 로봇시장 확대를 위해 두 가지 대형사업인 ‘국민 안전 로봇 프로젝트’와 ‘로봇비즈니스 벨트 구축사업’을 기획하고 추진 의지를 공표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 본지에서는 한국로봇융합연구원에서 공개한 국내 로봇 정책 동향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정부는 범부처 로봇산업정책협의회 개최 및 부처협업형 로봇 프로젝트 발굴 등 범부처간 공조와 산업간 융합을 강화하는 정책이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로봇산업 정책의 청사진이 될 ‘제2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국방 분야 로봇 도입을 앞당기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발표되었으며, 로봇산업 촉진과 공공활용 확대를 위한 대형사업(로봇 비즈니스벨트 구축사업과 국민 안전로봇 프로젝트)의 예비타당성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2014년 국내 로봇분야 연구개발 규모는 총 1,609.2억 원으로 전년대비 20.3% 증가했으며, 정부 연구개발의 큰 방향은 ‘원격제어’와 제조현장에 적용 가능한 ‘로봇지능’으로 선정되었다.
■ 국내 로봇분야 정책
정부는 제1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이 종료됨에 따라 ‘제2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14~'18)’을 수립중에 있다. 미래 로봇수요에 따른 고 비즈니스 창출형 로봇 개발,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할 로봇 중소·중견기업 육성, 부처간·산업간 개방형 협업으로 로봇융합 본격화 등을 검토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 국방분야 로봇 도입을 앞당기기 위한 다양한 육성정책 역시 발표되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무인기술, 로봇 등을 활용한 신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투자를 확대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국방로봇사업팀과 선도기술사업팀을 신설했다. 산업부와 공동으로 국방로봇시범사업인 ‘초견로봇 시범보급사업(민군기술협력진흥센터)’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초의 민·군 겸용 과제인 ‘기중력 120kgf급 구난로봇 기술개발 사업('13.07~'19.06)’을 착수했다. 또한 무기체계의 소형화 및 신소재 기술 등을 기반으로 자율로봇 기술을 선행 개발하는 연구센터('14~'21, 155억 원)를 서울대학교에 개소했다.
그 외에도 정부에서는 로봇미래전략(2013~2021)을 근간으로 한 로봇비즈니스벨트 구축사업, 국민안전로봇 프로젝트 등 대형 로봇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로봇비즈니스벨트 구축사업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 동안 총 2,075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으로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중이다. 첨단로봇기술 상용화를 통한 기계산업 고도화(작업지원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분야의 신시장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민안전로봇 프로젝트는 산업부 4대 분야 13개 대형융합과제 중 하나로 '14년 예비타당성 심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사업기간 6년('15~'20), 총 사업비 1,215억 원으로 기획되었다. 국민안전로봇 프로젝트는 각종 재난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시작된 일본의 재난 대응 무인화 시스템 프로젝트와 미국 DARPA 로보틱스 챌린지와 유사하다.
- 일본 재난 대응 무인화 시스템 연구개발 프로젝트
일본 재난 대응 무인화 시스템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착수된 사업으로 재난 및 대형 사고에 의해 파괴된 건물 현장에서 신속한 상황파악, 장비 운반, 복구 활동을 지원하는 장비 및 요소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사업기간 '12.02~'13.02, 총 사업비 9.96억 엔)이며, 실용화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작업 이동 기구 개발, 측정 작업 요소기술 개발, 재난 대책용 작업보조 로봇개발의 3개 분야 9개 세부과제로 구성, 9개 연구결과물 공개('13.02) 후 국제로봇전시회(iREX)에서 시연행사를 개최했다('13.11). 본 사업의 결과물은 향후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연료봉 제거, 원자로와 건물 해체ㆍ폐로 등의 작업을 위한 사전 환경 조사, 장비의 반입, 제염, 공사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그림1> 재난대응 무인화 시스템 활용 개념도
<그림2> NEDO 재난대응 무인화 시스템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주요 성과(2013년)
- 미국 DARPA 로보틱스 챌린지(DRC)
미국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ARPA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계기로 기획하게 된 DARPA 로보틱스 챌린지(Robotics Challenge)는 재난 대응에 첨단 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총 예산은 약 100억 원 규모('13~'14, 1차 대회 연구지원금 총 8개팀 각 100만 달러, 최종 대회 수상금 200만 달러)이다. 이는 재난대응 로봇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표1> DARPA 로보틱스 챌린지의 임무 구성
임무 구분 | 수행 세부내용과 배점 |
자동차 | 자동차를 타고 출발해 목적지까지 가면 1점, 차에서 스스로 내리면 1점, 걸어서 경기장을 빠져나가면 1점, 사람의 도움없이 3점을 연속으로 받으면 보너스 1점 |
험지 돌파 | 걸어서 경사로 및 둔덕, 벽돌계단, 벽돌무덤을 통과하면 1점씩 3점, 한 번에 돌파하면 보너스 1점 |
사다리 | 사다리 위에 두 발이 모두 올라서면 1점, 5계단의 사다리를 올라서면 1점, 끝까지 올라서면 3점, 한 번에 돌파하면 보너스 1점 |
장애물 제거 | 길을 막고 있는 장애물을 치우는 경기. 각목 5개를 치우면 1점, 10개를 치우면 2점, 15개를 치운 뒤 걸어 나가면 3점, 한 번에 돌파하면 보너스 1점 |
문열기 | 문 3개를 열고 들어가는 과제. 밀어서 여는 문과 당겨서 여는 문, 당겨서 열지만 저절로 닫히는 문 3개가 각 1점, 연속 통과 보너스 1점 |
벽 뚫기 | 전동 톱을 집어 들어 벽에 삼각형의 구멍을 내는 과제. 한 면을 자르는데 1점씩, 3번 잘라 구멍을 내면 3점을 받음. 중간에 멈추지 않으면 보너스 1점 |
밸브 잠그기 | 모양이 다른 3개의 밸브를 차례로 잠그는 과제. 개당 1점, 연속해서 잠그면 3점, 연속 성공하면 보너스 1점 |
소방호스 연결 | 벽에서 소방호스를 끌어내면 1점, 다른 쪽 벽으로 걸어가 연결할 파이프에 가져다 대면 1점, 가져다 댄 호스를 잠그면 1점, 연속 성공하면 보너스 1점 |
<그림3> 1차 대회 사다리(좌)와 밸브 잠그기(우) 임무 수행 사진(샤프트)
■ 연구개발 투자
2014년 로봇분야 정부 투자는 총 1,609.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4% 증가했으며, 주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투자가 1,460.6억 원으로 전체의 90.8%를 차지하고 있다.
로봇산업원천기술개발, 로봇산업클러스터 조성 등 연구개발 예산이 전체의 60.7%인 977억 원이며, 비R&D 예산은 지능형로봇보급 및 확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지원, 로봇랜드 조성, 인력양성 사업 등 632.2억 원(39.3%)이 사용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투자는 135.2억 원('02년)규모에서 꾸준히 증가해 현재 1,460.6억 원 수준('14년, '02년∼'14년 연평균 성장률 21.9%)이다.
<표2> 로봇관련 정부사업 현황(2012~2014년) (단위: 억 원, %)
소관부처 | 사업명 | 2012 | 2013 | 2014 | '14/'13 증가율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로봇) -로봇융합 제품기술개발 417.6억 원 -로봇원천·부품기술개발 245.6억 원 | 684.8 | 688.8 | 691.2 | 0.3 |
지능형로봇보급 및 확산 | 249.6 | 227.6 | 159.1 | 30.1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41.5 | 140.5 | 107.4 | 23.6 | |
로봇산업클러스터조성(R&D) | 82.0 | 140.2 | 215.8 | 53.9 | |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구축 | - | 5 | 20 | 300 | |
해양로봇연구거점센터지원(부산) | 10 | 18 | - | - | |
산업전문인력강화(로봇) 내 융복합형로봇전문인력양성→산업융합·연계형 로봇창의 인재양성 | 44 | 44 | 15 | 65.9 | |
광역경제권 선도 산업(대경권, 로봇) | 53 | 53 | - | - | |
로봇랜드 조성 | 116 | - | 242.1 | - | |
로봇부품센터 장비지원 | - | - | 10 | 신규 | |
소계 | 1280.9 | 1317.1 | 1460.6 | 10.9 | |
방위사업청 | 로봇센터 사전타당성 연구 | - | - | 73.6 | 신규 |
해양수산부 | 해양개발용 수중건설로봇 개발 | - | 20 | 70 | 250 |
차세대 해양 수중글라이더 운영지원센터 | - | - | 5 | 신규 | |
합계 | 1292.7 | 1337.1 | 1609.2 | 20.4 |
로봇 분야 국가 연구개발의 큰 방향을 ‘원격제어’와 제조현장에 적용 가능한 ‘로봇지능’으로 선정, 이에 따라 '14년 산업부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중 로봇 분야 신규 중장기 과제로 작업지원 분야 과제와 로봇 지능을 위한 각종 센싱 기술개발을 위한 과제가 다수 포함되었다.
<표3>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로봇분야 신규과제 현황(2014)
구분 | 과제명 | 예산규모 |
제조·작업지원 | 실제 제조환경에서 인간 작업모습 관찰에 의한 작업 이해를 통해 실시간 작업계획의 정확도를 90% 이상 달성하기 위한 로봇 판단지능기술 개발 | 100억 원 |
인간-로봇 공존환경에서 사용되는 로봇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이동식 및 착용식 로봇용 기초 안전기술 | 50억 원 | |
다자유도 수동식(Passive) 중력보상 기반 저가형 로봇시스템 개발 | 25억 원 | |
로봇 적용 범위 확장을 위해 3종의 조인트 모듈, 최대 7자유도의 기구부 조합에 따른 제어, 인지 시스템의 자동 구성이 가능한 모듈라 매니퓰레이션 기술 개발 | 100억 원 | |
의료·재활 | 자폐/ADHD 아동 교육 보조를 위한 신뢰성 95% 이상인 장애 수준 진단시스템 및 교육훈련용 로봇 시스템 개발 | 50억 원 |
환자 맞춤형 각막이식을 위한 50μm급 적층 구조의 인공각막 제조, 정밀 검사 및 수술 보조 로봇용 핵심기술 개발 | 100억 원 | |
고령화 세대에게 개인별 특화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로봇 개발 | 50억 원 | |
휴머노이드 | 풀사이즈(Full-Size) 인간형 로봇 기술 확산을 위한 오픈소스 SW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1.5m 키, 30 자유도 이상의 이족보행 인간형 로봇 공용 플랫폼 개발 | 40억 원 |
요소기술 | 로봇용 피부센서 기술개발 | 5억 원 |
로봇용 인공근육 기술개발 | 5억 원 | |
로봇용 Haptic 기술 개발 | 5억 원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www.piro.re.kr
<본 기사는 월간 로봇기술 6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