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국민안전·건강로봇 개발 사업’, 극한재난대응 로봇 개발 축소 이명규 기자입력 2014-05-09 18:06:59

 산업통상자원부.png

<사진. 미 국방부의 다르파(DARPA)의 아틀라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가 제출한 ‘국민안전·건강로봇 개발 사업’, 극한재난대응 로봇 개발로 축소


정부가 추진하는 산업엔진 프로젝트인 국민안전·건강로봇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심사 과정에서 극한재난대응 로봇 개발로 축소됐다.
4월 1일 관련기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제출한 국민안전·건강로봇 프로젝트 가운데 극한재난대응 로봇 분야만 예타 대상으로 선정했다. 또 로봇헬스타운과 안정성지원센터 건립 계획에 대해서는 사업의 경제성 부족 및 중복성을 이유로 예타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관련 부처에 요청했다.
이에 따라 극한재난대응 로봇 경제성 평가(예타)가 조만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산업부의 예상대로 올 상반기 예타를 통과할 경우 관련 예산 확보와 기본 및 실시 계획을 거쳐 내년 사업 시행은 무난할 전망이다.
사업기간이 6년(2014~2020년)이 되는 이 사업은 크게 실증단지 구축과 관련 연구개발(R&D)로 구성돼 있다. 실증단지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동해권 스마트 재난방재로봇 프로젝트’와 연관, 포항에 구축돼 개발된 로봇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관련 R&D 과제로는 재난 긴급대응 작업 및 인명구조 로봇, 험지 이동형 고중량 양팔 작업 로봇, 재난대응 다중로봇 공조작업 통합관제 시스템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예타 대상 심사 과정에서 기재부가 극한재난대응 로봇과 로봇헬스타운을 분리 추진할 것을 요청함에 따라 세부적인 추진 계획에 있어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며 “하지만 이로 인해 제2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에서 반영될 로봇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장기적이고 확고한 의지가 흔들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자제해 달라고 했다. 

 

 

이명규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