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도 로봇 시범보급사업 설명회 ?
?
로봇 기업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지원합니다!
?
2013년도 로봇 시범보급사업 모집 계획이 확정되었다. 2011년에 시작되어 로봇 기업들의 든든한 사업기반이 되어주었던 로봇 시범보급사업은 올해에도 가능성 있는 로봇기술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로봇산업의 급성장에 발맞추어 지원의 규모도 한 층 업그레이드 된 로봇 시범보급사업이 올해는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는지 주목해보자. 취재 신혜임 기자(press4@engnews.co.kr)
로봇 시범보급사업 공모 “로봇기업들 주목”
지식경제부와 한국로봇진흥원이 2013년도 로봇 시범보급사업을 확정해 공모에 들어갔다. 3월 19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개최된 이번 사업 공모 설명회는 정부가 주도하는 부처주도형 사업과는 다른 분야에 지원되는 아이디어 발굴형 사업으로 로봇산업을 이끌어갈 아이디어를 국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식경제부는 “로봇산업의 시장창출과 산업경쟁력 제고, 수출가능 로봇서비스 발굴을 위한 2013년 로봇시범사업 대상과제를 모집하게 되었다”고 전하며 로봇 기업들의 많은 참여를 강조했다. 이날 인사말을 맡은 박철휴 로봇시범사업단장 또한 인사말을 통해 “로봇산업이 점차 한국의 신성장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는 만큼 많은 로봇기업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애쓰고 있다”며 “한국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달라”는 당부를 전했다.
한편, 지난 2회를 거쳐 올해 세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시범사업은, 로봇기업들의 보다 높아진 관심에 부응하기위해 이번에는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설명회를 가졌다. 서울지역에서 진행된 이날 설명회는 다수의 관련기업이 참여해 활발한 질의응답 시간을 갖기도 하는 등 이 사업에 대한 업계의 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 진 내 용 | 추 진 기 관 | 추 진 일 자 |
사업공고 | 지식경제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13. 3. 11 |
사업신청서 제출 | 신청기관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13. 3. 11 ~ 4 .22 |
사전 서류 검토 | 한국로봇산업진흥원(로봇시범사업단) | '13 .4. 23 ~ 4. 26 |
선정평가(서면,현장,발표평가등) | 평가위원회 | '13. 4. 29 ~ 5 .22 |
지원 대상 신청 발표 | 평가위원회/지식경제부 | '13. 5. 27 |
지원 사업비 확정 | 사업비 선정심의위원회 | '13. 5. 29 |
협약 체결 | 한국로봇산업지원흥 -> 주관기관 | '13. 6. 1 |
사업비 지급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주관기관 | - |
지난해 로봇 시범보급사업에 선정되어 최근 로보폴리스
그룹과의 MOU체결로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에 나선 스마트로봇 알버트
중소기업이 포함된 컨소시엄 형태로 신청 가능
15억원 미만의 지원규모로 이루어지는 이번 로봇 시범보급사업은 5억원 이상~15억원 미만의 A형과 5억원 미만의 B형으로 나누어 지원된다. 과제당 지원비는 사업의 타당성과 성공 가능성 등을 감안해 조정되며 지원되는 국비는 대상제품을 제작하거나 테스트베드 구축과 운영, 성능평가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제작비용은 총 사업비(현금기준)의 30% 이내로 한정).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2/3 이상이라면 총 사업비의 60% 이내,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율은 10% 이상을 적용받을 수 있으며,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2/3 미만이라면 총 사업비의 50% 이내, 민간부담금의 20% 이상에서 지원이 가능하다. 단 기관 및 대학은 참여기업에 포함하지 않으며 중견기업은 중소기업으로 분류해 설정하게 된다. 특히 올해 사업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분야도 지원신청이 가능해져 지원 폭이 한층 확대되었다.
신청자격은 1개 이상의 중소기업을 포함한 컨소시엄 형태로 신청이 가능하며 대상 컨소시엄은 로봇(H/W, S/W, 부품, 콘텐츠 등)과 관련 서비스를 반드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대기업의 경우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 차원에서 주관기관으로 참여는 가능하지만 선정 후 국비는 사용할 수 없으며, 컨소시엄 내 주관기업은 기업만 가능하다. 또한 사업단은 해당기술이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는 수요처의 컨소시엄 참여를 권장하고 있다. 박철휴 단장은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주/참여 기관 중 지능형로봇전문기업으로 지정된 기업이 있는 과제, 지자체 등의 매칭이 있는 과제, 신규 인력채용이 있는 과제, 기업의 현금부담률이 높은 과제 등을 우대하여 선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기술개발과제 성격의 사업이나 지난 로봇 시범보급사업으로 동일 제품, 또는 유사 서비스를 수행한 경우, 사업신청 주관기관, 참여·위탁기관 착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정부사업으로 수행한 과제의 의무사항(보고서 제출, 기술료 납부 등)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등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신청서 접수기간 만료일 기준 정부의 R&D 과제를 수행 중이거나 국가 또는 지자체로부터 신청과제와 유사한 사업화 검증 명목으로 이미 예산을 지원받은 사업도 신청할 수 없다. 더불어 정부사업에서 참여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를 비롯해 사업신청 주관기관, 참여·위탁기관, 당해 기관장, 총괄책임자가 금융기관 등의 신용거래 불량자인 경우도 지원을 받지 못한다.
평가는 별도의 평가위원회를 통해 이뤄지며 서류심사, 서면평가, 현장평가, 발표평가, 사업비 심의의 순으로 진행된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www.kiria.org) 홈페이지 사업공고란에서 신청서를 작성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로봇시범사업단( 대구시 북구 경대로 17길 47 IT융합산업빌딩 7층)으로 접수할 수 있으며,
기타사항이나 궁금한 점은 전화(☎053-940-9524)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