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포스코홀딩스,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 첫 개최 청년 AI 전문가 육성 박차 임승환 기자입력 2025-09-11 16:00:12

경진대회 참가자들의 다관절 협동 로봇 챌린지 수행 / 사진.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가 9월 9일(화)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열고 청년층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산업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대회는 포스코그룹 핵심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조 현장에서 AI 및 산업용 로봇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처음 기획됐다.

 

이번 대회에는 지난 5월 26일부(월)터 전국 32개 대학 84개 팀이 참가해 1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본선에는 7개 팀이 진출했으며, 다관절 협동로봇과 4족 로봇 분야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겨뤘다. 본선 진출팀에는 전문가 멘토링과 워크숍 참가 기회가 주어졌다.

 

다관절 협동로봇 분야에서는 이차전지소재 열처리 용기를 모사한 불량 블록을 집어 정상 블록으로 교체하는 미션이 진행됐다. 4개 참가팀은 불량 블록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교체하는지로 성과를 평가받았다. 이어 진행된 4족 로봇 자율보행 분야에서는 3개 팀이 제철소 현장 설비 구간을 모사한 트랙을 완주하며 장애물 인식 및 운반 능력을 겨뤘다.

 

대상은 성균관대학교 Agile팀(4족 로봇)과 서울시립대학교 UOS Robotics: ARM팀(다관절 협동로봇)이 차지했다. 본선에 오른 모든 팀에는 포스코그룹 회장상과 총 4천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으며, 포스코홀딩스 연구과제 연계와 포스코DX 채용 시 가점 혜택도 제공됐다. 성균관대학교 손영우 학생은 “AI를 활용해 로봇 자율보행 솔루션을 직접 설계하고 정밀한 미션을 수행한 경험이 앞으로 연구를 이어가는 데 큰 도움이 됐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포스코홀딩스 김기수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은 “이번 대회가 AI와 로봇 중심의 미래 제조업을 체험하는 장이 됐을 것”이라며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분야에 AI·로봇 기술을 적극 도입해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실제로 4족 보행 로봇을 제철소 고위험 작업 현장에 투입하는 등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효율성 제고를 위해 AI·로봇 기술을 현장에 확대 적용하고 있다. 향후 고유의 솔루션과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현 속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임승환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