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포지드 3D프린터 라인업 / 사진. (주)제이엔텍
3D 토털 솔루션 기업 (주)제이엔텍이 10월에 열리는 ‘2025 한국전자전(KES 2025)’에 참가하여 마크포지드 3D프린터와 산업용 3D스캐너를 통한 전자 · IT산업 활성화 방법 및 최신기술을 공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는 10월 21일~24일 동안 열리는 ‘2025 한국전자전(KES 2025)’는 국내 최대 규모 전자ㆍIT산업 전시회로 기업들의 신기술 및 제품 시연을 한 자리에 확인해볼 수 있다.
(주)제이엔텍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전자 · IT 관련 기업들이 마크포지드의 카본 파이버 및 정전기 방지 소재 ESD를 사용하여 강력하고 가벼운 부품을 제작한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마크포지드를 통해 3D프린팅된 출력물1(광학기기 부품들) / 사진. (주)제이엔텍
또한 전자 · IT 산업의 3D프린터 국내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특히 산업용 고강도 최종 사용부품을 위해 출시된 FX20과 신제품 FX10 3D프린터를 통해 한번에 프린팅된 대형출력물을 전시할 예정이며, 올해는 특별히 산업용 3D스캐너도 함께 전시하며 치수 검사 및 역설계를 위한 3차원 형상 정보 등을 획득하는 방법을 공유할 예정이다.
마크포지드를 통해 3D프린팅된 출력물2(테스팅 픽스처) / 사진. (주)제이엔텍
(주)제이엔텍은 ‘2025 한국전자전(KES 2025)’에서 전자 · IT 산업의 3D 프린팅과 3D스캐닝 적용을 더욱 확고히 한다는 목표다.
산업용 3D프린터
기존의 일반적인 3D프린터들이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를 사용해 활용 분야가 제한적인 반면 마크포지드의 3D프린터는 고강도 경량 소재인 카본파이버를 사용해 자동차, 항공우주, 선박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해 기존 생산 방식의 틀을 깨고 있다.
현재 3D프린터는 기존 시제품 제작의 용도뿐만 아니라 실제 파트 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구사항에 직면해 있다. 고강도 복합소재를 활용한 마크포지드의 강성파트 제작 능력은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완벽히 부응한다.
제전특화 소재 ESD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모든 전자 제품은 대부분 ESD 안전 도구를 사용하여 ESD 안전 환경에서 제작된다.
Onyx ESD를 통해 전자 제품 제조업체는 민감한 전자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엄격한 ESD 안전 요구사항의 애플리케이션 제작에서도 3D프린터를 활용할 수 있다. 마크포지드 Onyx ESD는 표면 저항성이 매우 강하고 정밀하게 설계되어 제작 시 표면 조도가 우수하며 기존의 Onyx보다도 더 강하고 단단하다.
마크포지드 제전소재(정전기 방지) Onyx ESD / 사진. (주)제이엔텍
Onyx ESD는 ESD로부터 안전해야 하는 툴링, 지그 및 고정 장치 등의 부품 제작에 가장 적합하다. 몇 가지 예로는 조립 고정구, 테스트 고정구, 맞춤형 핸드툴, 인클로저, 컴포넌트 트레이, 로봇암 그리퍼 등의 제작도 가능하다.
산업용 3D스캐너
기업들의 시장 경쟁에서 제품 외관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특정 기준 포인트 검사에서 제품 외관 3차원 형상 전체를 검사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3D스캐너의 활용이 필수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3D스캐너는 실물과 동일하거나 일부 형상을 복원하기 위하여 주위의 형상을 활용할 수 있으며, 개발 초기 경쟁제품의 벤치마킹 용도로도 그 활용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산업용 3D스캐너의 다양한 스캔방식 / 사진. (주)제이엔텍
한편, ‘2025 한국전자전(KES 2025)’ 무료초대권은 (주)제이엔텍 홈페이지(Resources탭)에서 사전신청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