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공식 출범식 / 사진. 우주항공청
대한민국 드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가 공식 출범했다. 지난 6월 17일(화) 우주항공청 주관으로 개최된 출범식에는 우주항공청 윤영빈 청장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상철 원장,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방위사업청·해양수산부·해양경찰청·산림청 등 관련 부처와 출연연, 학계,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국내 드론산업의 전략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 의지를 다졌다.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는 국내 드론 기체와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주도권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범정부 정책이다. 현재 국내 드론시장은 외산 제품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로, 자립형 산업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전환이 절실하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이니셔티브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정책 로드맵 마련 ▲기체 및 핵심부품의 국내 생산 확대 ▲부처 간 협업체계 강화 ▲AI·차세대 반도체 기반 지능형 드론 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이라는 4대 핵심 전략 과제를 추진한다.
첫째, 글로벌 수요를 겨냥한 드론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국제협력 및 표준화 추진을 통해 공급망 다변화를 모색한다. 둘째, 공공임무용 드론 기체를 표준화·계열화하고, 국산 모터·배터리·센서 등 핵심 부품을 전략 육성해 생산 기반 자립을 도모한다. 셋째,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해양경찰청 등 부처 간 수요 연계, R&D, 실증, 조달을 통합하는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넷째, AI, 디지털트윈, 스마트 제조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드론 개발과 제조·운용 전 과정을 혁신한다는 목표다.
특히, 이번 이니셔티브는 단순한 기술개발을 넘어서, 재난 대응, 국토 관리, 환경 감시, 시설물 점검 등 공공 안전 및 사회기반 서비스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드론 시스템의 개발과 보급 확대를 병행해 드론 산업 전반의 생태계 활성화를 견인할 계획이다.
우주항공청 존 리 임무본부장은 “K-드론 이니셔티브는 국가 전략기술 자립과 공급망 복원력 강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의 출발점”이라며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기술 혁신과 시장 확대를 동시에 이루고, 지속 가능한 드론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예비타당성조사 등 구체적 실행 절차를 순차적으로 추진하며 중점과제별 전략을 체계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드론산업은 이번 이니셔티브를 계기로 해외 의존에서 벗어나 자립적이고 경쟁력 있는 공급망과 첨단 지능형 기술 생태계를 갖추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주도권 확보와 산업 성장의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