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로보티즈, 국산 기술 기반 세미 휴머노이드 'AI Worker' 공개 Physical AI로 고난이도 작업 수행 임승환 기자입력 2025-04-18 09:02:29

AI Worker / 사진. 로보틱스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가 Physical AI 기술이 적용된 세미 휴머노이드 로봇 ‘AI Worker’를 공개했다. 이번에 선보인 AI Worker는 숙련자의 동작을 모방 학습하고 실제 작업에 투입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돼, 국내 로봇 산업의 기술 자립과 실용성이라는 두 축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AI Worker는 로보티즈의 핵심 원천기술인 액츄에이터(DYNAMIXEL)와 감속기(DYD)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휠베이스 기반으로 설계돼 빠르고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양팔 구조를 통해 정교한 동작과 높은 작업 속도, 배터리 효율까지 갖췄다. 특히 기존 ‘AI 매니퓰레이터’의 확장 형태로, 리더-팔로우 방식의 동작 학습 시스템을 적용해 인간의 정밀 동작을 그대로 학습하고 반복 수행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핵심 기술은 Physical AI 기반의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및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이다. 숙련 작업자가 리더암을 통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면, 팔로우암이 이를 모방해 학습하고, 이 데이터를 활용해 시뮬레이션 환경 내에서 강화학습을 반복 진행함으로써 실질적인 작업 수준을 끌어올린다. 이를 통해 하네스 작업, 용접, 조립, 검사, 분류 등 고숙련이 필요한 공정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조업계의 인력난 해소에 실질적인 대안이 될 전망이다.

 

조작의 직관성도 AI Worker의 특징이다. 로봇 조작 경험이 없는 사용자도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봇을 운용할 수 있으며, 반복 학습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실무 대응 능력을 자동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현장 맞춤형 로봇으로서의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최근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에도 핵심 참여기업으로서 이름을 올렸다.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설립된 K-휴머노이드 연합은 국내 로봇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산·학·연 협력이 이루어지는 조직으로, 로보티즈는 이 연합 내에서 국산 기술 기반 양산형 휴머노이드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로보티즈는 양산형 로봇 생산을 위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액츄에이터 및 감속기와 같은 핵심 부품의 해외 생산 거점을 확대해 원가 절감 및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응형 대량 생산 체계도 본격적으로 준비 중이다.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는 “로보티즈의 ‘AI Worker’는 한국 로봇 산업의 기술 독립성과 산업 확장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국내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로봇 산업 발전을 견인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임승환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