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혁신 인재 성장 지원 사업은 수요기술 중심의 인공지능 응용 활용이 가능한 고부가 지능형 로봇 기반 로봇SI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한국로봇산업협회와 경희대학교, 단국대학교, 목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인제대학교가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해당 사업에는 해외 공동 연구(R&D) 지원 사업과 함께 ‘AI로봇 기반 인간기계협업기술 전문 인력 양성 사업’도 포함된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본 사업의 주관기관으로서 공동연구개발기관인 사업 참여 대학들과는 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을 전개하고, 컨소시엄 참여 기업에는 기업 홍보 프로그램이나 채용 연계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또한 참여 대학과 기업 간에 다양한 형태의 기술 교류와 협력을 장려함으로써 시너지를 일으킨다.
인공지능 및 로봇공학 관련 대학원 석박사 인력 및 관련 산업 분야에 진학을 희망하는 이를 대상으로 하며,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국내 제조 기업의 공정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학위 과정, 자율주행·협동로봇·위험성 평가 등 실습 중심의 단기 교육 과정, 산업계 애로기술 문제 해결 중심의 프로젝트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 한국로봇산업협회
올 상반기에 2024년도 후기 모집 공고를 진행했으나, 각 대학교별로 2025년 신입 수혜 학생 모집을 예정하고 있으므로 아직 참여하지 못한 석박사 대학생들도 올 하반기에 진행될 2025년도 모집 공고를 노린다면 충분히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한국로봇산업협회는 AI로봇 기반 인간기계협업기술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의 일환으로 산업 현장에서 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기업과 학계가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산학 프로젝트를 운용한다.
산학 프로젝트는 현장 전문가로서의 노하우를 지닌 기업과 전문지식을 보유한 지도교수 및 석박사급 인력이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산학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먼저 기업의 실질적인 기술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 기술에 대한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기술 수요와 참여 학생의 수준에 맞는 주제를 발굴한다. 이후 과제에 적합한 지도교수를 선정하고, 지도교수와 학생, 현장 전문가인 기업이 팀을 이뤄 산학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기업은 대학교 인프라 및 석박사 인력 공급으로 기술 애로사항 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기업 홍보 프로그램 및 채용 연계 프로그램 등의 지원도 받을 수 있다. 한편 산학 프로젝트 컨소시엄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로봇산업협회로 문의하면 된다.
사진. 한국로봇산업협회
관련기사
▶[MF ①] 알아두면 쓸모 있는 로봇 인력 양성 지원 사업 - 로봇 오퍼레이터 재직자 교육
▶[MF ②] 알아두면 쓸모 있는 로봇 인력 양성 지원 사업 - 석박사 해외 공동 연구 지원
▶[MF ④] 알아두면 쓸모 있는 로봇 인력 양성 지원 사업 - 로봇 리크루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