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제조업 AI 융합 프로세스 가동, 민·관 2.5조 원 규모 투자 제조업 혁신 수평 확산 모색 김용준 기자입력 2024-07-26 11:20:22

산업통상자원부가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진행했다. /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7월 22일(월)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개최하고, 제조업에 인공지능을 도입해 생산성·안전성·환경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AI 자율제조’ 확산을 위한 민관 합동 프로젝트를 2.5조 원가 투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12개 업종의 153개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얼라이언스는 업종별 12개 분과로 구성되며, 각 분과에는 업종을 대표하는 앵커기업과 함께 핵심 공급망을 구성하는 중견·중소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참여기업 수로는 대기업이 21%, 중견기업이 23%, 중소기업이 5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생기연·전자연·한자연 등 전문 연구기관들도 분과별 간사를 맡아 얼라이언스의 활동 전반을 밀착 지원하게 된다. 


얼라이언스는 올해 10개 이상의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2028년까지 200개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게 된다. 특히 올해 사업 추진을 위한 수요조사가 지난달 완료됐는데 10개 과제에 총 213개의 수요가 접수됐다. 산업계의 적극 참여 의지가 확인된 만큼, 산업부는 올해 추진할 사업 개수를 당초 10개에서 20개 내외로 확대를 검토 중이며 이에 따라 20여 개 프로젝트에 대한 민·관의 AI 자율제조 투자액은 2.5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됐다.


아울러, 얼라이언스는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한 기술,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표준모델도 만들어 확산할 계획이다. 선도 프로젝트가 밸류체인 내에 있는 대기업부터 1~4차 벤더인 중견·중소기업까지 체계적·수직적 확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표준모델은 밸류체인을 넘어선 수평적 확산이 목적이다.


선도 프로젝트에 대해 과제당 최대 100억 원의 예산이 지원될 예정이다. 또한 산업부는 AI 자율제조 확산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금년중 3,000억 원 규모의 대형 연구개발 과제를 기획할 예정이다. 여기에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얼라이언스에 참여한 기업들의 AI 자율제조 관련 프로젝트에 대해 5년간 10조 원의 금융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 같은 지원을 통해 2030년 제조 현장의 AI 자율제조 도입률을 40%이상까지 끌어올려 제조 생산성을 20%이상, GDP를 3%이상 높인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안덕근 장관은 “제조 현장의 AI 도입은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얼라이언스를 통해 대한민국 제조업 혁신의 대전환점을 마련하겠다”라며 “정부는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김용준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