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인터뷰] (주)버커트코리아, 신제품 FLOWave SAW 유량계 이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공개 탄산음료까지 정확하게 측정하고 운반한다 정하나 기자입력 2024-07-25 15:40:18

(주)버커트코리아 최지호 사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 사진.여기에

 

독일 버커트의 유체 제어 시스템을 공급하며 스마트팩토리 관련 솔루션을 제안하는 (주)버커트코리아가 신제품 소식을 독자적인 방법으로 소개했다. 동사는 COPHEX 2024에서 타입 8098 FLOWave SAW 유량계를 공개하며 물, 음료뿐만 아니라 탄산음료까지 정확하게 측정하고 운반할 수 있는 솔루션을 시연했다. 본지에서는 (주)버커트코리아가 소개한 솔루션과 제품의 특징을 소개한다. 

 

 

Type 8098 FLOWave SAW / 사진. (주)버커트코리아


탄산이 있어도 정량 측정
유체 제어 시스템 전문 기업 (주)버커트코리아(이하 버커트코리아)는 본사 버커트의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우수한 솔루션을 제공해 인지도를 제고하고 있다. 


올해 버커트코리아는 COPHEX 2024에서 버커트의 신제품인 Type 8098 FLOWave SAW(이하 FLOWave) 유량계의 출시 소식을 생동감 넘치게 전하기 위해 독자적인 기술로 구성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동사는 부스에서 FLOWave 유량계와 연속 제어 밸브 시스템, 다중 채널/다기능 송신기/컨트롤러 등을 연동함으로써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개했다. 


FLOWave 유량계와 디스플레이 등이 연결된 공간에서 콜라를 정량으로 측정하고 운반되는 솔루션과 함께 설치된 디스플레이에서 관련 데이터를 바로 확인 가능한 솔루션을 홍보했다.


특히 이 제품은 버블이 발생하는 탄산의 음료를 정량으로 측정한다. 버커트코리아 최지호 사장은 “기존 유량계로 à 파이프에서 액체가 운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블에 대한 실제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하지만 버커트의 신제품을 사용하면 발생하는 버블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때문에 아무런 영향 없이 지정된 양만큼, 액체의 실제 유량 값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Type 8693 포지셔너+PID 컨트롤러 / 사진. (주)버커트코리아

 

액체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측정하고 운반하다
버커트의 FLOWave 유량계는 표면 음파를 기반으로 하는 유량 센서로, 전도도가 낮거나 전혀 없는 액체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유량 측정이 가능하며 정확한 주입을 통해 액체의 일관된 맛과 품질이 보장된다. 


이와 더불어 밀도 계수의 측정 및 출력이 가능해 기존의 액체에서 다른 액체로의 즉각적인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며 다양한 액체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더불어 모듈식으로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평, 수직, 다양한 각도로 설치가 가능해 적용 범위가 넓고 제품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상단 또는 전면에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90° 단위로 피벗할 수 있으므로 모든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측정 튜브에 습식 센서가 탑재돼 있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며 CIP/SIP과 호환되는 등 위생 요구 사항을 준수하기 때문에 제약/식음료 등 산업에 적합하다. 

 

PLC 컨트롤러가 없어도 버커트 제품이면 스마트팩토리 실현 OK!
버커트코리아는 또 다른 제품인 Type 8693 포지셔너+PID 컨트롤러(이하 Type 8693)를 이용한 퍼멘테이션(Fermentation, 발효) 솔루션을 선보였다. 


퍼멘테이션은 배양물을 사용해 유기물로 전환하거나 효소를 첨가해 발효하는 과정을 뜻한다. 이를 통해 가스, 알콜, 산을 만들어 식품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식이다.

 
공정 계수의 실제 값은 4-20㎃, PT100 또는 주파수 신호로 장치에 직접 공급된다. 프로세스 컨트롤러를 통해 분산 비교를 기반으로 종속된 포지셔너의 설정 값이 계산된다. 아날로그 피드백을 통해 제어 레벨의 모든 아날로그 값을 전송하기 때문에 통합 진단 기능을 통해 제어 밸브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상태 신호를 통한 밸브 진단 메시지는 NE107(NAMUR)에 따라 발행되고 기록 항목으로 기록된다. 공정 컨트롤러와 포지셔너의 매개변수화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백라이트와 키패드가 있는 대형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통해 조작이 용이하며 추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선택 가능하다. 


포지셔너는 비접촉식 아날로그 위치 센서를 통해 열화 없이 밸브 위치를 등록하고 단동 또는 복동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내부 공기 소비 없이 작동한다. PROFIBUS DP-V1, EtherNet/IP, PROFINET, Modbus TCP, buS(CANopen 기반) 및 아날로그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와 디지털 피드백을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지호 사장은 “Type 8693는 PID 컨트롤러가 탑재돼 있어 입력 센서를 통해 포지셔너 밸브 개폐를 스스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단순히 온오프(ON-OFF)하는 것이 아니라 컨트롤러를 통해 양의 비례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의 리크를 감지하고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PCB 컨트롤러가 탑재된 버커트 제품을 이용하면 PLC 컨트롤러가 없어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스마트팩토리를 실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 솔루션은 Type 2300/2103 공정 밸브 시리즈의 공압 액추에이터에 통합적으로 장착하도록 최적화됐다. 

 

독자적인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통해 고객 마음 사로잡을 것!
버커트는 해외 시장에서 많은 레퍼런스를 기록하며 다양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정밀하고 우수한 유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버커트의 한국지사인 버커트코리아 역시 본사 직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밀한 유체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자동화를 넘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동사는 제공하는 스마트팩토리를 실현하는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을 활발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최지호 사장은 “당사는 COPHEX에 참가하며 국내 고객과 직접 대면하며 시장 상황을 살피고 있었다. 그러던 중 COPHEX 2024에서 저번 전시회보다 전시 부스 규모를 확장해 신제품을 이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에게 주목을 받았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전시회를 참가할 때마다 다양한 제품을 기반으로 버커트코리아만의 색을 담은 솔루션으로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전했다. 

정하나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