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2023 국제로봇비즈니스컨퍼런스, ‘지속가능 발전과 로봇의 역할’ 제시 양일간 2023 로보월드 동시개최로 시너지 효과 기대 정하나 기자입력 2023-10-17 08:20:25

 

사진. 2023 로보월드

 

2023 국제로봇비즈니스컨퍼런스가 킨텍스 2층 207호에서 ‘지속가능한 우주경제와 우주로봇’이라는 주제로 Trak E가 진행됐다. 


Track E(우주로봇)는 12일(목) 13시 30분부터 진행됐으며, 우주로봇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대해 우주로봇의 기술 및 산업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우주로봇 트랙의 시작은 ‘우주 지속가능성과 우주로봇’을 주제로 성균관대 김선우 교수(우주로봇포럼 의장)가 첫 번째 발표를 맡았다. 김교수는 “우주내 서비스 조립 및 제조(ISAM), 현지자원활용(ISRU), 심우주 탐사 등 우주경제의 확대를 위해서는 우주로봇의 역할이 필수적이다”라며 우주로봇 분야의 산학연관 협력적 혁신 플랫폼으로서 우주로봇포럼이 관련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발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류동석 박사(로봇응용연구실장)이 ‘달 장기거주와 우주로봇’을 주제로 미국 정부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상세히 소개하고, 관련하여 NASA의 우주 로봇 연구 개발 동향 등에 대해 설명했다. 
 

류 박사는 원자력과 우주는 극한 환경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우주로봇 분야를 장기간 연구해왔다면서, 앞으로도 학교와 산업계 및 타출연연과  협력하여 우주로봇 분야의 기술 리더십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 번째로 김덕수 스페이스맵 대표(한양대 교수)는 ‘위성로봇, 궤도서비스산업 그리고 추론기술’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우주산업혁명이 이미 시작됐으며 우주 쓰레기 제거, 위성 재급유 등 궤도내(in-orbit) 서비스 산업이 그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페이스맵은 궤도내 서비스 산업을 위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기반의 시공간 추론기술을 상용화 중으로서, 김대표는 한국이 우주산업혁명의 리더국가가 될 수 있도록 스페이스맵이 기여할 것임을 약속했다. 
 

이어서 네 번째 발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윤형주 박사가 ‘위성 궤도상 서비싱 기술과 우주 로봇의 개발 및 활용’을 주제로 궤도상 서비싱 기술의 실제 사례와 주요국 계획, 그리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개발 계획 등을 상세히 설명했다. 
 

윤박사는 궤도상 서비싱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로봇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로봇 업계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했다. 

 

우주로봇 트랙의 마지막 순서를 맡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김경자 센터장은 ‘우주현지자원활용(ISRU)에 대한 우주로봇의 역할 및 활용’이란 주제의 발표에서 NASA의 ISRU 계획에 대해 공유하고, 오프월드 등 관련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우주자원 채광 주기에 대해 설명했다. 
 

김센터장은 ISRU는 인류가 장기적으로 달과 화성에 거주를 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며, 우주로봇은 ISRU의 핵심 요소임을 강조했다. 

정하나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