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로보케어, AI기술 활용 문화콘텐츠 공모전서 우수상 수상 AI 로봇 기반 기능성 게임 콘텐츠 기능성 인정 받아 정하나 기자입력 2023-10-10 18:17:40

사진. (주)로보케어

 

사회적 약자 지원 사업을 위해 치매 예방 인지 훈련 로봇 실벗 등 로봇을 제공하는 (주)로보케어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는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을 통해 동사는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 기업으로 면모를 굳히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
(주)로보케어(이하 로보케어)가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는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공모전은 신기술 활용 문화콘텐츠 산업의 국내외 정책 및 산업현황을 공유하고 우수 아이디어를 선정해 문화콘텐츠 산업의 장단기적 발전과 산업 생태계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우수상 수상으로 동사는 상금은 1,000만 원, 아이디어 실현 지원금 1,000만 원을 포함한 총 8,000만 원을 지원받는다. 또한 아이디어 개선 및 발전을 통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산업 생태계 성장을 위한 콘텐츠 및 기술부분 연계 전문가 멘토링을 지원(3회/회당 60분)을 받을 수 있다. 

 

인지 능력 및 체력 향상 기여
로보케어가 공모한 콘텐츠는 실버세대의 헬스케어정서케어를 위한 AI 로봇 기반 기능성 게임 콘텐츠로 모바일 서비스 로봇과 AI 기반 비전 인식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인식된 사용자의 모션을 통해 진행되는 인지능력 혹은 체력 향상을 돕는다. 


로보케어 관계자는 “인구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들의 건강과 정서적 안녕을 촉진하며 사회적 참여와 연결성을 강화하는 실버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자세 및 손 제스처 인식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콘텐츠의 경우,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미션을 요구할 수 있으며 노인들의 인지능력과 체력 향상을 도울 수 있고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AI 기반 실시간 모션 및 손 제스처 인식 모델 탑재
적용된 AI 기반 실시간 모션 인식 기술은 자세 인식 모델, 손 제스처 인식 모델로 구성됐다. 


이 솔루션은 MobileNet V2 및 Feature Pyramid Network 기반의 자세 인식(Body Landmk) 추출 모델을 활용해 추출된 전신 관절의 위치 및 각도 등에 규칙기반/머신러닝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해 자세를 인식한다. 


더불어 Single-shot Detector 기반 Palm Detector 및 Multiview bootstrapping 기반 손 제스처 인식 추출 모델을 활용해 추출된 양손 관절의 위치 및 각도 등에 규칙기반/머신러닝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해 자세를 인식한다.
 

정하나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