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지가 모바일 로봇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 사진. 아이지
아이지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진행하는 2023 수요기반 맞춤형 서비스로봇 개발·보급사업의 지원과제에 선정돼 국내 모바일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으로 동사는 국내 시장에 안전성, 효과성, 경제성을 고루 갖춘 모바일 로봇을 선보여 고객 선택권을 추가 확대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아이지는 ‘2023년도 수요기반 맞춤형 서비스로봇 개발·보급사업’ 지원과제에 최종 선정돼 국내 모바일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아이지는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로봇 수요자들에게 긍정적인 솔루션을 제안하고, 안전성, 효과성 검증 등을 통한 완성도 높은 모델을 개발, 보급할 계획이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진행하는 본 사업은 BM 기획·설계, 개조·개량 및 검증, 그리고 실증·보급 등 총 3단계의 심층 평가가 진행되며, 아이지는 1단계(BM설계)와 3단계(실증보급) 과제에 참여해 수요별 실증 시나리오 및 안전대책을 기획하고, 제품 스펙, 표준, 규제 개선 등을 정립해 제품 안전성 및 효과성이 입증된 모델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아이지는 IoT,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VR/AR/MR 등 첨단 ICT 기술과 공정 구축 역량을 융합했고 이번 기회를 통해 다수의 산업 자동화 프로세스 구축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산 경제형 자율주행 기반 모바일 로봇을 선보여 국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동사는 사람과의 감정 교류가 가능한 소프트뱅크의 페퍼 로봇 등 서비스로봇에 대한 국내 공급망도 다수 확보해가고 있고, 국내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해 가격 및 기술력에서 월등한 제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장 리딩 브랜드 수준의 퍼포먼스를 구현하면서도 가격은 30% 이상 낮춰 시장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본 사업의 최종 지향점”이라고 밝힌 아이지 김성태 부사장은 “자율주행 기반 모바일로봇의 사용 범위가 서비스 로봇에서부터 유통 및 제조 현장까지 확대된 만큼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디지털트윈 기반 머신텐딩과 최근 급부상한 LMS 제조 기술 및 특허까지 확보해 시제품도 완성한 상태”라고 전했다.
한편, 7월 5일부터 2024년 11월 3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전 과정에서 성공적인 서비스로봇 개발 및 보급화가 진행되면 1단계에서는 1억 원(정부지원금), 2단계에서는 5억 원(정부 지원금 및 민간부담금)으로 총 6억 원이 집행된다. 빅웨이브로보틱스(주)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며 아이지는 해당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긴밀한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