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로봇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7일 5일(수)부터 7일(금)까지 3일간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제21회 국제 나노기술융합전시회(NANO KOREA 2023)에서 로봇과 결합한 나노기술을 펼쳐진다.
이번 전시회에서 최근 연구개발 중이거나 연구성과와 로봇 등 우리 삶과 밀접한 나노 관련 기술 7개와 4개 사업 등 총 11개 부분에 걸쳐 공개된다.
사진. 로봇기술
그 중에서 차세대 로봇 그리퍼 기술, 촉각/모션 감지 휴머노이드 로봇암 기술이 참관객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공개된 멀티모달 유연 센서가 집적된 로봇 그리퍼 기술은 사람의 손처럼 감각을 느끼고 집계한 물건을 제대로 구분하고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나노 복합소재와 나노 에어갭 구조를 적용해 압력과 벤딩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멀티모달 유연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를 그리퍼에 적용했다. 이로써 로봇 그리퍼가 딱딱한 공과 말랑한 공의 상태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분류하는 시연이 진행됐다. 이 기술은 향후 의족이나 의수는 물론,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 등 자동화 라인에서 사람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 기술로 기대된다.
사진. 로봇기술
또한 또 다른 기술인 신축성 전자피부 센서 어레이가 직접된 촉각/모션 감지 휴머노이드 로봇암 기술도 참관객들로부터 놀라운 기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IMU와 인간 피부처럼 압력분포를 감지할 수 있는 신축성 전자피부 압력센서 어레이가 집적돼 촉각 및 모션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후속 동작에 대한 실시간 페루프 프드백이 가능하다.
즉, 사람의 손에 관성측정장치(IMU)를 창작하면 암이 사람처럼 부드럽게 움직이게 된다. 또한 물체가 있을 경우 사람처럼 잡을 수도 있는 시연이 진행됐다. 이러한 기술은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실현할 기술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