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인천시, 올해 ‘배송·웨어러블·안내로봇’ 8대 신규투입 원거리 관제도 도전 윤소원 기자입력 2023-04-05 15:29:19

사진.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가 정부(한국로봇산업진흥원) 지원 '인공지능(AI)·5G 기반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 2단계에 착수했다고 5일(수) 밝혔다.

 

'인공지능(AI)·5G 기반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은 국민 편의와 서비스 로봇 보급확산을 위해 병원, 공항, 철도, 대형마트 등 국민밀접시설을 대상으로 로봇 융합모델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인천의 경우 총 18억 원을 투입해 부평역과 부평지하상가를 대상으로 5종 15대의 로봇(배송, 감시정찰, 웨어러블, 안내, 제빵로봇)을 실증하고 있다.

 

현재 인천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인천교통공사(실증지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원격관제시스템 구축), 유진로봇(로봇개발), 시스콘(로봇개발), 푸드앤로봇 등이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인 지난해는 로봇의 운영관리 및 관제지원을 위해 부평 지하상가 내 로봇실증지원센터를 개소하고, 배송로봇(물품 및 음료배송, 폐기물 운반 등), 감시정찰로봇(역사 내 사각지대 순찰), 웨어러블 로봇(작업자 업무보조) 등 7대 로봇을 활용해 총 2271건의 실증을 추진했다.

 

특히 공공분야에서는 처음으로 현장에 4족 보행로봇을 직접 적용해 큰 주목을 받기도 했으며, 참여기업에서는 수요처 발굴과 함께 배송로봇 34대의 판매실적을 올리기도 했다.

 

2단계인 올해는 배송로봇 2대와 웨어러블로봇 3대를 추가해 대상과 실증범위를 확대하고, 안내로봇 3대를 신규투입 해 지하상가 이용객을 대상으로 지도정보 제공 및 길 안내와 상가별 마케팅 지원 등의 서비스를 실증할 계획이다. 아울러 하반기에는 서구 청라에서 부평 현장의 로봇을 제어하는 원거리 원격관제도 시도할 예정이다.

 

원거리 원격관제는 5G통신망을 기반으로 로봇(5종 15대)의 센서 및 영상 정보를 실시간 수집, 관제하는 시스템/AI(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해 오류, 이상 상황 시 원격으로 로봇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인천시 이남주 미래산업국장은 "정부는 로봇산업이 생산성 향상, 인력 부족 및 산업재해 예방, 미래 신 성장산업 등 1석3조 효과를 가진 핵심분야로 주목하고 있다"라며 "시는 시민들의 편의증진과 인천의 미래를 위해 로봇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지원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소원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