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 /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농식품 분야 핵심 국정과제인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농식품산업의 혁신성장을 도모할 ‘푸드테크 산업 육성(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 마련)’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푸드테크(Foodtech)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 전반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바이오기술(BT) 등 첨단기술이 결합된 신산업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식물성 대체식품, 식품프린팅, 온라인 유통플랫폼, 무인 주문기(키오스크), 배달·서빙·조리 로봇 등이 있다.
이러한 푸드테크는 코로나19 이후 세계 식품 소비 유행이 건강과 환경 중시의 가치소비 확산, 개인 맞춤형 소비, 비대면 소비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고성장이 전망되는 산업 분야가 되었다.
2020년 기준, 세계 푸드테크 시장규모는 약 5,542억 달러(약 665조 원, GS&J 추정), 국내는 약 61조 원(GS&J 추정)으로 추정되며, 2017~2020년 30%를 훌쩍 넘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국내 농식품산업의 새로운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방안은 푸드테크를 통해 국내 농식품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고, 우리 기업들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푸드테크 거대 신생 기업(유니콘 기업) 30개 육성과 푸드테크 수출액 20억 불 달성을 목표로 ①푸드테크 혁신기업 육성, ②산업 저변 확대, ③산업의 성장기반 마련이라는 3대 추진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이번 방안을 통해 푸드테크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청년들의 창업기회 확대 및 관련 일자리 창출,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등 우리 농식품산업이 한 단계 크게 성장하는데 새로운 활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