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엿볼 수 있는 ‘2022 로보월드(ROBOT WORLD)’가 10월 26일(화)부터 29일(토)까지 4일 동안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2022 로보월드에 참가한 하비스탕스는 협동로봇에 3D 프린팅 그리퍼(Gripper)를 결합한 맞춤형 협동로봇 솔루션을 선보였다.
하비스탕스 부스 전경(사진. 로봇기술)
특히 ‘그립팜(Gripalm)’ 솔루션으로 협동로봇과 결합해 현장 맞춤화 협동로봇 솔루션과 데모를 시연했다.
그립팜은 협동로봇 맞춤형 3D프린팅 진공 그리퍼 디자인/주문 플랫폼으로, 온라인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퍼 설계, 주문, 결제의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옮겨 놓은 것이 아닌, 그동안의 사례와 테스트를 통해 축척된 기술력으로 바디 내부에 진공 채널을 삽입하고, 로봇의 최대 가반 하중과 작업물의 무게를 경계 조건으로 한 구조 해석 결과 데이터를 반영한 최적화된 형상으로 표준화했다.
하비스탕스는 ‘그립팜(Gripalm)’ 솔루션으로 협동로봇과 결합해 현장 맞춤화 협동로봇 솔루션과 데모를 시연했다.(사진. 로봇기술)
개발된 그리퍼는 메인 바디(Main Body)와 익스텐션 바(Extension Bar)로 구분되며, 고객의 작업물 스펙과 작업 조건을 입력하면, 이에 따라 메인바디와 익스텐션바 형태가 변경돼 맞춤화된 그리퍼가 생성된다(로봇과 연결되는 플렌지만 바꾸면 모든 협동 로봇 및 산업용 로봇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도 제공).
이 솔루션은 엔드유저뿐만 아니라 로봇 대리점, 로봇 SI 업체들이 가진 그리퍼에 대한 페인 포인트(그리퍼의 경량화, 도입 비용, 가공 제약, 셋업 시간)를 3D프린팅의 장점(설계자 유도, 재료 변경, 개별 생산)을 활용한 맞춤화된 그리퍼를 통해 해결하는 서비스다.
(사진. 로봇기술)
하비스탕스는 협동로봇 진공 그리퍼 뿐만 아니라, 핑거그리퍼 및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활용되는 EOAT에 대한 부분까지 3D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화 솔루션의 개발을 계속 추진할 예정이고, 회사의 핵심 역량인 적층 제조 전문 설계(DfAM)를 더욱 고도화해 이를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기술 보급에 힘쓸 예정이다.
한편, 올해로 17회를 맞이한 2022 로보월드는 국제로봇산업대전, 국제로봇콘테스트 & R-BIZ챌린지, 국제로봇비즈니스컨퍼런스,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표창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년 대비 40~50% 이상 확대돼 12개국 220여 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가했으며, 제조업용 로봇, 공장자동화, 서비스로봇, 의료 재활로봇, 국방로봇, 퍼스널모빌리티, 무인기, 드론, 로봇부품, SW 등이 공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