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가상공간 내 다중 사용자 행동예측 및 운영 최적화 기술 정하나 기자입력 2020-01-31 15:34:14

가상공간 내 다중 사용자 행동예측 및 운영 최적화 기술의 개념도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초·원전 R&D 사업에서 창출된 우수한 연구성과가 산업계에 이전돼 사업화 및 일자리 창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사업화 공공기관이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에서 작성·지원한 본 기술 소개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살펴보고, 더불어 기술이전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개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중 모바일 게임, 웹툰, VOD 서비스, IP TV 등의 경우 최근 부분 유료화(Free-to-Play, F2P)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 이탈 예측뿐만 아니라 구매 예측은 부분 유료화 모델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 발표된 기술은 게임 콘텐츠 대상 게이머 행동 예측 모델링에 국한됐다.

 

이 기술은 게임, 쇼핑몰, 온라인 디바이스 진단, 기업 워크플로우 등 다양한 장르의 온/오프라인 서비스 로그 데이터로부터 대규모 사용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생하는 소셜 관계가 포함된 행동 속성을 추출한 후 학습해 행동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서비스 내 이용형태 결과를 예측해 해당 온라인 서비스에 최적화된 운영 요소를 추천하는 기술이다.

 

기술개발 현황

이 기술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행동 이벤트에 따라 누적되는 로그데이터를 활용해, 사용자 성향 분석/군집화 및 향후 행동 예측 결과를 시각화해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측되는 행동 결과의 발생요인을 분석해 사용자 행동 유도를 위해 최적화된 운영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온라인 서비스 환경에 특화된 미가공 로그데이터를 대상으로 대용량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해 서비스 이용활동에 대한 상호간의 영향도를 추정할 수 있는 소셜관계 데이터의 추출/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기술의 우수성(특장점)

이 기술은 온라인 서비스 내 발생하는 행위 데이터 기반 사용자 행동 모델 구축으로 사용자 선호도/경향과 신규 콘텐츠, 차기작 기획으로 이어지는 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필요한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들의 요구사항 분석이 가능하다.

 

온라인 서비스 내 구성요소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 가능한 소셜관계 기반의 상황 예측 리포팅을 지원하고 관리자에 의해 임의 지정되는 운영 조건을 대상으로 단계적인 설정과 최적화가 가능한 서비스 운영 시나리오를 자동 생성한다.

 

기술 적용(활용) 가능 분야

온라인 사용자 행동 속성뿐만 아니라 서비스 내 환경 요소와 연계해 온라인 서비스 운영 분야, 콘텐츠 생애 주기 시뮬레이션 검증 분야, 진화형 인공지능 응용 분야, 서비스 리스크 관리 분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적용 분야

활용 대상

온라인 서비스 운영 분야

- 온라인 서비스 변화 예측 기반 운영 정책 변경 추천

- 고객 수요 변화 예측 기반 마케팅 지원

- 흥행 지표 분석 기반 업데이트 및 타 콘텐츠 연계

콘텐츠 생애 주기 시뮬레이션 검증 분야

- 온라인 사용자 모델링 기반 서비스 내 생애 주기 예측

- 대규모 업데이트 안정화 및 시스템 운영 밸런스 검증

- 콘텐츠 사용 예측 기반 사용자의 특정 행동 확률 예보

진화형 인공지능 응용 분야

- 인공지능형 비서, 협업형 게임, 자립형 에듀테인먼트, 영화 가상 캐릭터 등 인공지능이 활용되는 다양한 분야의 확대 적용을 통한 상호작용 기반 콘텐츠 제작 지원

서비스 리스크 관리 분야

- 신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예외상황 예측

- 서비스 운영 요소의 활성화 검증 시뮬레이션

- 사용자 성향에 따른 군집화 및 특성에 따른 맞춤형 대응방안 모색 및 문제 발생에 대한 모의실험

 

관련 지식재산권 현황

구분

발명의 명칭

특허 출원(등록)번호

국내특허

소셜 관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10-2018-0156526

 

정하나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