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수술용 로봇 및 이를 커버하는 멸균 드레이프 수술용 로봇 및 이를 커버하는 멸균 드레이프 성진용 기자입력 2012-03-05 00:00:00

수술용 로봇 및 이를 커버하는 멸균 드레이프

 

 

 

요약
수술용 로봇 및 이를 커버하는 멸균 드레이프를 개시한다.
고정부위를 가지는 멸균 드레이프가 수술용 로봇에 부착되고, 수술용 로봇에는 고정부위에 상응하는 위치에 멸균드레이프가 부착될 수 있도록 제1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로봇이다.

 

멸균 드레이프가 고정될 부위를 미리 지정해 놓거나, 고정될 부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수술용 로봇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멸균 드레이프에 미리 개방홀을 천공해 멸균 드레이프가 커버된 상태에서도 멸균 어댑터나 클램프를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로봇암 각각에 대응하도록 암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로봇 암이 구비된 수술용 로봇을 한꺼번에 드레이핑할 수 있다.

 

배경기술
로봇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용 로봇은 의사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마스터부와 마스터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수술에 필요한 조작을 수행하는 슬레이브부로 이루어지며,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는 통합된 하나의 로봇 형태로 구현하거나,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여 수술실에 배치하게 된다.종래에는 이러한 수술용 로봇을 멸균 드레이프로 커버한 후 적절한 부위에서 띠를 감거나 밴드를 체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멸균 드레이프를 로봇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 방법은 멸균 드레이프가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로봇에 커버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복수의 로봇 암이 구비된 로봇의 경우 각 로봇 암마다 멸균 드레이프를 커버한 후 밴드를 체결해야 하므로 드레이핑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정확한 위치에서 멸균 드레이프를 수술용 로봇에 고정시킬 수 있고, 멸균 드레이프가 커버된 상태에서도 멸균 어댑터나 클램프를 장착하기 용이하며, 복수의 로봇 암을 한꺼번에 커버할 수 있는 수술용 로봇 및 멸균 드레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멸균 드레이프에 의해 커버되는 수술용 로봇 및 이러한 수술용 로봇을 커버하는 데에 사용되는 멸균 드레이프를 포함한다. 고정부위를 가지는 멸균 드레이프가 수술용 로봇에 부착되고, 로봇에는 고정부위에 상응하는 위치에 멸균 드레이프가 부착될 수 있도록 제1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1고정수단은 자석, 스냅 버튼, 벨크로 등을 포함하고 고정부위에는 제1고정수단에 상응하는 제2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수단에는 제1식별표지가 표시되고, 제2고정수단에는 제1식별표지에 상응하는 제2식별표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수단은 고정부위를 흡착하도록 음(-)압을 형성하는 석션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석션홀은 고정부위와의 접촉에 상응하여 음압을 형성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위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한 스위치와 연동해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며, 석션홀은 가압판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멸균 드레이프가 고정될 부위를 미리 지정해 놓거나, 멸균 드레이프가 고정될 부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멸균 드레이프를 정확한 위치에서 수술용 로봇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멸균 드레이프에 미리 개방홀을 천공해 멸균 드레이프가 커버된 상태에서도 멸균 어댑터나 클램프를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로봇 암 각각에 대응하도록 암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로봇 암이 구비된 수술용 로봇을 한꺼번에 드레이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로봇 및 이를 커버하는 멸균 드레이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술용 로봇(1), 멸균 드레이프(20), 자석(22), 철편(23)이 도시되어 있다.본 실시예는 멸균 드레이프 및 수술용 로봇의 특정 위치에 고정수단을 미리 설치하여 멸균 드레이프로 수술용 로봇을 커버한 후 정확한 위치에서 로봇에 고정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멸균 드레이프는 ‘고정부위’를 가지는데 고정부위는 멸균 드레이프 상에 미리 지정된 지점일 수 있으며, 멸균 드레이프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지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멸균 드레이프에 철편 등의 고정수단을 미리 부착해 놓을 경우에는 이러한 고정수단이 부착되는 지점이 고정부위가 된다. 반면 별다른 고정수단이 설치되지 않고 드레이프를 석션홀에 근접시켜 드레이프 상의 특정 지점이 로봇에 부착되도록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석션홀에 접촉되는 지점이 고정부위가 될 수 있다. 고정수단으로는 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멸균 드레이프의 고정부위에는 철편이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수술용 로봇 및 멸균 드레이프에는 서로 상응하여 결착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멸균 드레이프를 고정해야 하는 위치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로봇 암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멸균 드레이프의 고정부위 및 그에 상응하는 로봇의 지점에 숫자나 문자 등의 식별표지를 미리표시해 둠으로써 멸균 드레이프를 로봇에 고정시키는 위치를 쉽게 찾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 드레이프의 철편이 부착된 지점이 10군데라고 가정하면, 각 철편이 부착된 지점에 1부터 10까지의 번호를 표시하고 자석이 부착된 지점에도 번호를 표시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각 철편마다 그에 상응하는 자석을 찾을 필요 없이 서로 일치하는 번호를 찾아 부착하여 쉽게 고정위치를 찾을 수 있다. 
특허정보검색서비스 www.kipris.or.kr  

성진용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