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D 산업
삼성전자
LED TV용 초슬림 LCD패널 업계 최초 양산
CCFL 대신 LED 적용, 두께 1/4 줄여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LED TV용 두께 10.8mm의 초슬림 LCD 패널 양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에 양산하는 제품은 화면크기 40~55인치의 LED TV용 패널로 일반 LCD TV용 패널 광원으로 사용되는 CCFL(냉음극형광램프) 대신 최근 각광받고 있는 LED(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하여 두께를 기존 제품에 비해 최대 1/4 정도로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 특징이다.
무게도 10~15kg 정도로 가벼워 자유로운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최근 디지털TV의 핵심 키워드인 초슬림 TV 및 액자형 벽걸이 TV를 구현하는데 최상의 솔루션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LED TV용 초슬림 패널은 최고급 LED 백라이트 패널로서 높은 명암비와 함께 120Hz, 240Hz 구동이 가능하여 LED 특유의 풍부한 색감과 뛰어난 동영상을 구현하는 등 최상의 화질을 보여 준다.
그리고 디자인, 화질뿐만 아니라, 수은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 보다 소비전력이 대폭 감소하는 등 친환경성도 강화됐다.
초슬림, 고화질, 친환경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TV의 3대 메가트렌드를 모두 만족시켜 차세대 TV용 패널로서의 면모를 완벽하게 갖춘 것이다.
LED 백라이트는 향후 초슬림 LCD TV 시장의 판도를 크게 좌우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주목 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올해 LED TV용 패널 시장이 작년에 비해 7.5배 성장하여 2백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12년까지 연평균 195%씩 성장하여 2,052만대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도청
LED산업 지원위한
‘광교LED융합기술지원센터’ 개소
각종 기술서비스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 특허 및 표준화 지원
경기도가 지방 과학기술 진흥정책의 일환으로 조성한 광교테크노밸리에서 수도권 LED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광교LED융합기술지원센터의 출범식이 1월 28일 오후 2시 나노소자특화팹센터(대표이사 고철기, KANC)에서 열렸다.
이번 출범식은 대한민국 LED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가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개소하는 LED융합기술지원센터의 출범행사를 광교테크노밸리에서 통합하여 거행하는 것으로, 현재 경제사정을 고려하여 간소하고 내실 있게 진행되었다.
LED융합기술지원센터는 권역별로 산·학·연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첨단 장비의 제공 및 기업애로기술 개발, 측정분석 등 각종 기술서비스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 특허 및 표준화 지원 등 LED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출범식에는 이윤호 지식경제부장관, 김문수 경기도지사, 고철기 나노소자특화팹센터(KANC) 대표이사, 서문호 아주대학교 총장, 이효수 영남대학교 총장, 권역별 센터관계자, LED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 대표, 관계공무원 등 국내외 인사 70여명이 참석하였다.
LG전자
UAE 환경부장관,
LG전자 친환경 사업 벤치마킹
태양에너지, 지중열에너지 이용한 친환경 경영활동 대해 논의
LG전자 남용부회장은 2월 2일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아랍에미레이트 라쉬드 아흐마드 빈 파흐드(Rashid Ahmad Bin Fahad)환경부 장관을 만나 환경, 에너지 등 친환경 사업과 관련한 의견을 나눴다.
라쉬드 장관은 태양에너지 사업 수직계열화를 완료하고 솔라셀 발전소를 건설하는 등 친환경 사업과 제품 개발 등에서 한발 앞서나가고 있는 LG그룹을 벤치마킹하고, 아랍에미레이트의 차세대 에너지 사업 방향을 모색키 위해 방한했다.
이날 만남에는 남용부회장과 백우현 최고기술책임자(CTO), 김기완 중아지역본부장도 함께 해, 온실가스 감축 전략, 친환경 디자인 및 제품, 태양에너지, 지중열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등 LG전자의 친환경 경영활동 및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남용 부회장은 “LG전자는 친환경 사회 건설에 앞장서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세계 각국의 친환경 정책에 적극 호응하고 있다”며 아랍에미레이트의 친환경 사업에 LG전자가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라쉬드 장관 일행은 지열을 이용해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LG전자 지열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와 ‘태안 LG솔라에너지 발전소’도 방문한다. 라쉬드 장관일행은 지열냉난방시스템이 기온이 높은 자국에서 활용하기에 유리한 시스템이라며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미리넷솔라
이탈리아 솔라데이사에
190만 유로 태양광전지 공급
독일 Roth&Rau사와도 120MW 솔라셀 제조장비/기술도입 계약
태양광전지 생산 분야 선두기업 미리넷솔라는 이탈리아 ‘솔라데이’사에 190만 유로(원화 35억여 원)의 태양광전지를 첫 대규모 출하했다고 1월 29일 밝혔다.
미리넷솔라는 지난해 7월 솔라데이(SOLARDAY S.p.A.)사와 2550억여 원의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한 이후 지난해부터 소규모 물량을 출하해왔고 2009년(기축년) 새해 첫 대규모 선적을 하게 됐다.
회사 측은 오는 2013년까지 태양광전지를 납품할 예정이며, 올해에만 솔라데이사에 매월 1MW 규모로 12MW를 비롯해 이태리 지역에 22MW 규모의 태양광전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해 잇따라 공급계약을 맺었던 홍콩의 렐리수코(Relisuco Co., Ltd)사와 이태리의 M사 등에도 오는 2월부터 대규모 출하가 예정되어 있어, 공급 물량을 맞추기 위해 현재 가동 중인 연산 30㎿(메가와트) 생산라인도 24시간 풀가동 체제에 돌입했다.
한편 독일의 로스앤라우(Roth&Rau)사와 대구2공장 120MW 솔라셀 제조장비 및 기술도입 계약을 마친 미리넷솔라는 국내 최대 규모인 150MW로 생산규모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전기
삼성전자와 LED합작법인 설립
LED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패러다임 변화에 적기에 대응
삼성전기는 2월 17일 이사회를 열어 “LED사업의 일류화를 위해 삼성전자와 공동출자 방식으로 LED합작법인을 신규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사회 결의에 따라 삼성전기는 삼성전자와 실무 절차를 거쳐 4월까지 LED합작법인(가칭 ‘삼성LED’)을 설립할 예정이다.
합작법인의 총 출자규모는 약 2900억원(합작법인 설립 시점에 변동가능)으로 지분 구조는 양사가 50대 50의 비율이며 이사회는 삼성전기와 삼성전자가 각각 3명, 2명으로 구성된다.
합작법인은 삼성전기의 子회사 형태로 매출, 손익 등 경영성과는 삼성전기에 반영되며 삼성전자는 지분법에 의한 평가를 적용받는다.
삼성전기는 합작배경에 대해 LED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패러다임 변화에 적기에 대응해 LED사업의 일류화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친환경, 장수명 및 낮은 소비전력 등의 장점으로 기존의 광원을 대체할 ‘미래의 빛’으로 각광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