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삼성전자 공동 지능형서비스로봇 국제표준안 채택
로봇산업 및 관련기술 개발 가속화에 기여 전망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지난 6월 23일에서 27일까지 캐나다 오타와에서 개최된 OMG(Object Management Group) 표준화 회의에서 ‘RLS 표준안’이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ETRI는 ‘RLS 표준안’이 지능형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는 일본, 미국 등이 제정한 ‘RTC 표준안’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표준안에 채택된 것이며, 이러한 성과가 독자기술 개발로 이루어졌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RLS 표준안’의 주요 내용은 ▲로봇 위치 표현을 위한 위치 정보 데이터 구조의 표준화 ▲각종 위치 인식 센서 및 관련 알고리즘에 적용될 수 있는 독립적인 로봇 위치 인식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표준안 제정 등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국제 표준과의 연계성을 강화했다는 특징이 있다.
유원필 ETRI u-City로봇연구팀장은 “지능형 로봇 기술의 핵심 분야인 위치 인식 및 관련 자율 주행 기술의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를 표준화함으로써 관련 기술 개발과 지능형 로봇 산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ETRI는 금번에 채택된 ‘RLS 표준안’을 기반으로 내년 8월에 개장 예정인 인천 투모로우 시티내 차세대 로봇 서비스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전자통신연구원∥www.etri.re.kr
부천로보파크 전시관, GS백화점 공동기획 로봇페어展 개최
최첨단 로봇전시와 로봇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 충실히 수행
부천산업진흥재단은 세계 최초의 로봇상설전시관인 부천로보파크를 운영함으로써 최첨단 로봇전시와 로봇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부천로보파크 전시관은 GS백화점(부천)과 공동으로 2008 Exciting Dream “Robot Fair”전을 8월 8일(금)부터 24일(일)까지 개최했다.
본 전시는 방학기간 동안 어린이를 대상으로 체험형 전시로 꾸며져, 로봇을 보다 가까이서 보고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춤추는 꼬마로봇 공연, 애완로봇 제니보 댄스공연, 격투경기 및 종이로봇 만들기 체험 등 다양한 로봇 콘텐츠 등이 선보였다.
또한 부천로보파크는 경기도 과학기술과 지원으로 3년째 경기과학멘토 사업을 추진하여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전문적인 로봇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경기과학멘토 엘리트반은 2008년 로봇올림피아드 한국대회에 참가해 그 동안의 갈고 닦은 기량을 선보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제10회째를 맞이하는 ‘국제로봇올림피아드 한국대회’는 8월 1일부터 6일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전국의 초·중·고등부 총 1,639명이 참가하여 10여개 종목의 기량을 겨뤘다.
부천로보파크∥www.robopark.org
‘이명박 정부의 577전략’으로 2012년 7대 과학기술강국 실현
지능형 로봇 등 7대 기술 분야에 포함해 중점 육성
「선진일류국가를 향한 이명박 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577 Initiative)」이 8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8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 대통령)에서 확정되었다.
과학기술기본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과학기술분야 범부처 국가계획이다.
이번에 확정된 과학기술기본계획은 신정부의 국정철학과 과학기술분야 국정과제 등을 반영하여 향후 5년간 이명박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도록 마련되었다.
동 계획은 06년 GDP대비 3.23%인 총 연구개발투자(정부 민간)를 12년 5% 수준으로 확대하고, 투자를 효율화한다.
또 7대 기술 분야(R&D)를 중점육성하고, 7대 시스템을 선진화·효율화하여 2012년 과학기술 7대 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50개 범부처 중점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주요 특징으로 향후 5년간 정부R&D로 참여정부 40조원보다 26조원 이상 늘어난 약 66.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7대 기술 분야, 50개 중점기술, 40개 후보기술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바이오칩·센서, 지능형 로봇 등이 기초·기반·융합기술 분야에 포함돼 지원받게 된다.
향후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연도별 범부처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연도별 추진실적을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교육과학기술부∥www.mo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