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로봇 전성시대 열린다!
올 하반기에는 곳곳에서 서비스 로봇을 만날 수 있다.
보건소에서는 의사나 간호사 대신 환자를 돌보는 간호로봇을, 화재 현장에서는 화재 상황 파악을 위해 소방대원보다도 먼저 불길로 들어가는 로봇을 기대해도 좋다.
이들 로봇은 시장성 검증을 거쳐 본격 출시될 예정으로 조만간 실생활 속에서 쉽게 만나게 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7월 29일, 8월부터 지방자치단체, 학교, 관공서 등에서 5종의 서비스로봇의 시장검증을 위한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로봇 시장검증은 완성된 로봇을 시장에 내놓기 전에 기능과 서비스 등을 각각의 환경에서 소비자들에게 직접 평가를 받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만나게 될 로봇제품은 다음과 같다.
◆ 로보이드
‘로보이드’는 약 1000대가 시범서비스에 참여한다. 한양대, 서울산업대, 숭실대, 광운대 등 4개 대학에서 대학생들이 로보이드를 검증하게 된다.
로보이드는 로봇 제조업체인 로보메이션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로봇이다.
펠리컨 모양의 캐릭터 로봇인 로보이드를 PC에 연결하면 음악을 듣거나 e메일을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음성통화도 가능한데, 상대방의 반응에 따라 로봇이 움직인다.
로봇이 춤을 추게 하거나, 건드리면 반응하게하는 동작들은 ‘로보이드 스튜디오’라는 소프트웨어로 명령할 수 있다.
로보메이션 안순원 부장은 “로보이드 제품가격은 몇 만원 정도로 저렴해 개인들의 수요가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헬 로봇(Hello-Bot)
‘헬 로봇(Hello-Bot)’은 스스로 움직이면서 환자들의 생체신호를 체크한다.
오는 10월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 보건소에는 바퀴가 두 개 달린 원통모양의 간호로봇이 환자들을 만난다.
의사나 간호사는 원격조종으로 원거리에서 화면을 통해 환자의 맥박·혈압·심전도·혈당 등을 체크할 수 있다.
헬 로봇은 로봇 전문업체인 로보쓰리가 개발하고 KAIST가 생체신호 기술을 제공하며 충북도가 상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