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Technology Center -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3) Technology Center -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3) 최혜진 기자입력 2008-08-28 00:00:00

<그림3> SWOT 분석

 

 

 

 

 

3. SWOT 분석

 

본 기술이 적용되는 시각인식시스템 관련 지능형 로봇산업의 경우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의 일환으로 국가적으로 인프라 조성과 함께 정책적으로 매우 큰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큰 장점이 되고, 최근 국내 연구개발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특히, 배관관련 청소로봇의 출원 건수는 30건 이상이다.


반면에 약점으로는 주요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으며, 표준화 작업도 미흡하다.

 

그러나 배관용 로봇과 같은 시각인식 지능형 로봇의 경우는 극한용 및 군사용 등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그 응용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것은 매우 좋은 기회가 된다.


로봇산업은 종합적인 산업으로 각국이 자본과 인프라, 기술투여 등 미래 산업으로 초미의 관심아래 절대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으로, 이미 주요 선진국가의 경우는 그 기반을 이룰 수 있는 원천기술을 상당수 보유한 상황으로 전문 업체의 시장 장악과 해당국가의 시장 주도권 장악 노력이 우리에겐 상당부분 부담으로 작용할 소지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단점을 극복하고, 외부로부터의 위협적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할 것이다.

 

특히, 로봇산업은 중소기업형 산업이 아니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공동 프로젝트 형식의 사업 공동 추진을 통해 로봇산업의 비전을 찾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림4> 마케팅전략

 

 

 

4. 마케팅 전략

 

산업용 로봇에 대한 시장은 정체 혹은 감소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지능형 로봇의 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이며, 지능 로봇의 시각시스템에 대한 미국 시장은 연평균 47%정도 고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반도체, LCD장비 등 로봇 테크놀로지를 응용한 제조장비의 시장규모도 10조원에 달하는 등 그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시각시스템과 관련한 원천기술 및 관련부품의 경우 해외 의존율이 높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및 상용화, 그리고 국산화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또한 시각시스템이 관련된 지능형 로봇의 경우도 이미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각종 산업용 배관, 상하수도 배관 등을 중심으로 탐색용 로봇의 활용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관련 지능형 로봇의 시장 확대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시각인식기술 이외에 3차원 감지기술 및 위치추적기술, 초소형화기술, 물체인식고속화기술 등 관련기술의 확보와 관련 제품군의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개량 제품에 대한 개선과 이를 위한 관련 전문업체가 밸류체인 형성에 의한 마케팅도 매우 중요하다.

 

제품 응용화의 범위를 넓힐수록 신규시장에 대한 창출은 가능할 것이고, 마케팅은 이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택하여야 할 것이다.

 

 

 

 

<그림5> 기술사업화 전략

 

 

 

 

 

 

<그림6>기술이전가능성

 

 

 

 

 

 

Ⅲ. 기술이전조건

 

1. 기술이전조건


개발수준은 특허등록, 5종류의 Prototype 개발완료이고,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최혁렬 교수가 개발하였다.

 

기술이전의 유형은 기술매매, 라이센스, 기술협력 등으로 협의 가 가능하며, 지적재산권은 10-2007-0074014 국내 특허출원(2007.07.24), 10-0784932 국내 특허등록(2007.12.05), 10-0392816 국내 특허등록(2003.0715), 10-0467792 국내 특허등록(2005.01.13), 10-0367823 국내 특허등록(2002.12.27), 10-0289812 국내 특허등록(2001.02.23)이다.

 

기술제공기관 연락처는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이다.

 

 

 

 

 

2. 기술이전가능성

 

본 발명에서는 개발된 배관 내부 검사용 로봇은 제어 모듈과 배터리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독립된 제어 시스템과 전원 공급 장치를 갖추어 스스로 배관 내부를 탐사하고, 배관지도를 작성할 수 있는 주행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고, 배관 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최대한의 적재공간을 가지는 중간모듈을 설치하여 비파괴 검사장비 등 각종 검사 및 시험 장비를 탑재하고 배관내부를 원활히 주행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모듈 간 견인력 및 추진력을 전달하며 비틀림을 방지하고, 곡관 및 분기관 등의 배관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형되는 링크 모듈을 설치하여 목적에 따라 추가 장착 및 변형이 가능한 모듈형 배관내부 검사용 로봇을 개발하였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경우 케이블 사용 시 공간적 제한이 따랐으나, 본 기술의 적용의 경우는 이를 극복하였으며, 제어모듈과 배터리 모듈의 탑재로 자율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 활용의 가치가 올라가 기술이전 성공률은 높을 가능이 있다.

 

다만, 탑재되는 부분이 이동시 공간적인 제약이 우선 따르지 말아야 하고 적정 적재공간의 활용이 이동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때로는 과도한 공간점거는 이동성에 문제를 낳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해야 한다.

 

 

최혜진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