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Expert Views - 국내 로봇산업의 현황과 전망(1) Expert Views - 국내 로봇산업의 현황과 전망(1) 최혜진 기자입력 2008-08-18 00:00:00

 

자료 : 산은경제연구소 김기종 수석연구원(kevin@kdb.co.kr) 발췌


2008년 5월 산업은행경제연구소에서 국내 로봇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살펴보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제조업용 로봇과 서비스로봇 두 분야로 나눠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설명한 이 내용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Ⅰ. 국내 로봇산업의 현황

 

1. 로봇산업의 중요성

 

·지능형로봇에 대한 수요 확대


2000년대 이후 고령화, 개인화, 정보화 등 사회환경의 변화로 높은 지능을 갖춘 서비스용 로봇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로의 전환으로 제조업 현장에서 인간과 협업이 가능한 높은 지능을 갖춘 제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각국 정부의 전략적 지원 산업


로봇산업은 향후 자동차산업 이상으로 성장이 기대되며 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다. 특히, 지능형로봇 산업은 IT, NT, BT 기술이 융합된 첨단기술의 복합체로써 신산업 창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미국 등 각국 정부는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지식집약형 산업


로봇산업은 반도체 등 첨단 정밀제조업의 원가절감이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특히, 지능형로봇은 과거의 로봇과 달리 활용을 위해 관련 소프트웨어 중심의 연구가 요구되는 지식집약형 산업이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IT기술 기반 확고

기초 원천기술 미확보

자동차, 반도체 FPD산업의 경쟁력

핵심부품을 수입에 의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노력

중고기업의 자본력 취약

기회(Strength)

위협(Weakness)

선진국도 개발 초기상태

선진국의 기술보호 장벽 강화

고령화 및 유비쿼터스 시대 도래 전방산업의 성장 지체

위치 인식등 관련기술 실용화 단계

소비자 기대수준과의 괴리

<표1>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SWOT분석

 

 

 

 

2. 국내 로봇산업 동향

 

·각 부문별 업체비중 및 자본금 구성


2005년말 국내의 로봇생산업체는 180개사로서, 이중 제조업용 로봇생산 기업이 33.3%(60개사)의 비중을 차지한다.

 

로봇 제조업체들의 매출액 규모는 10억원에서 50억원 사이의 업체가 74개사로 41.1%를 차지했다.


매출액 50억원 이상의 업체는 18개사(10.0%)에 지나지 않으며, 로봇 제조업체들의 평균 자본금 규모는 178억원으로 나타났다.

 

 

·로봇산업은 생산액 기준으로 고속 성장을 지속 중


국내 로봇산업은 생산액 기준으로 ‘2003~05년 중 1,680억원에서 3,302억원으로 연평균 40.2%의 증가세를 유지한다.


2005년 기준으로 제조업용 로봇이 2,189원으로 66.3%를 차지하고 있으며, 로봇부품 및 부분품이 15.9%를 차지하고 있다. 동기간 중 성장률은 네트워크 로봇이 90.5%로 가장 높다.

 

 

·로봇 출하액 역시 고속 성장을 지속 중


내수 및 수출용 출하로 나누어 보면 2005년 출하액의 76.9%인 4,367억원이 내수용 출하로 조사되었다.

 

수출용의 비중이 가장 높은 부문은 제조업용 로봇으로 904억원에 달해 전체 로봇수출용 출하액의 68.8%를 차지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업체수

(구성비)

총자본금

평균자본금

제조업용 로봇

60

(33.3)

2,556.758

42,612.6

전문서비스용 로봇

13

(7.2)

459,883

35,375.6

개인서비스용 로봇

39

(21.7)

39,710

1,018.2

네트워크 로봇

17

(9.4)

27,378

1,610.5

로봇 부품 및 부분품

51

(28.3)

130,680

2,562.4

180

(100.0)

3,214,409

17,857.8

<표2> 부문별 업체비중 및 자본금 구성

자료 : 산업자원부, "로봇산업 조사통계",2006.12

 

 

(단위 : 백만원,%)

구분

2003

2004

2005

평균성장률

제조업용로봇

118,954

178,039

218,908

35.7

전문서비스용 로봇

6,019

8,569

8,781

20.8

개인서비스용 로봇

18,459

26,804

35,735

39.1

네트워크 로봇

3,900

7,931

14,150

90.5

로봇 부품 및 부분품

20,651

34,861

52,661

59.7

167,983

256,204

330,235

40.2

<표3> 로봇산업의 생산현황 추이

자료 : 산업자원부, "로봇산업 조사통계, 2006.12

 

(단위 : 백만원,%)

구분

2003

2004

2005

평균성장률

제조업용로봇

188,633

305,752

383,390

42.6

전문서비스용 로봇

6,405

11,342

13,647

46.0

개인서비스용 로봇

17,115

31,025

44,989

62.1

네트워크 로봇

3,828

8,594

16,061

104.8

로봇 부품 및 부분품

67,716

56,316

110,065

27.5

283,697

413,029

568,152

41.5

<표4> 로봇산업의 출하현황 추이

자료 : 산업자원부, "로봇산업 조사통계", 2006.12

 

 

 

 

Ⅱ. 제조업용 로봇산업 동향

 

1. 제조업용 로봇의 생산현황

 

·최근 동향


외환위기 이후 생산규모는 꾸준한 증가를 보였으나, 2006년 들어 자동차 업계의 신규투자가 거의 중단되고 LCD와 반도체 업계도 투자규모를 줄이면서 2005년 대비 8% 감소를 보였다.

 

·종류별 생산 현황


2007년 9월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제조업용 로봇을 용도별로 보면 자동차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접용 로봇이 53.8%(331억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반도체와 FPD 산업에서 사용되는 클린로봇이 22.4%(137억원)를 차지했다.


기계적 구조에 따라 분류하면 2007년 1~9월 중 수직다관절 로봇의 생산액이 395억원(64.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직각좌표 로봇의 생산액은 132억원(21.5%)이며, 스카라 로봇은 6억원(1%)의 생산액을 기록했다.


전방산업별로 보면 자동차 부문이 완성차와 부품업계를 포함하여 419억원(68.3%)로 제조업용 로봇의 가장 큰 전방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이 141억원(22.9%)으로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업종은 비중이 미미한 편이다.


반면, 선진국의 경우 자동차 분야가 30%에 그치고 반도체 등 첨단분야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시장 내 수입품 비중 및 부품 국산화 수준


국내 제조업용 로봇시장의 수입품 비중은 40% 내외로 파악되고 있으며, 고기능, 정밀로봇의 경우 수입품 비중이 크다.


국내 제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6축 수직다관절 로봇의 경우 수입품의 비중이 63.6%(2004년 기준)에 달하며, 그중 화낙, 야스카와, 가와사키, 나치 등 일본산이 80%이다.

최혜진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