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Technology Center -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2) Technology Center -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2) 최혜진 기자입력 2008-08-18 00:00:00

Ⅱ. 시장성 분석

 

1. 산업 환경 및 시장 분석

 

본 기술이 적용되는 배관탐색용 로봇과 같은 지능형 로봇시스템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로 시각인식 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센서 및 Vision Chip 기술에 의해 의료, 미디어, 항공, 통신 분야 등 적용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의 환경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부품을 해외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원료 수급의 불안정으로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유럽 및 미국, 일본 등 주요 무역 상대국의 경우, 이미 이 분야의 원천 기술 및 관련 부품의 개발 수준이 우리나라보다 높아 수출할 경우, 대상국가와의 기술수준 차이로 거래가 쉽지 않고 요구사항이 많을 것으로 예측되어 구매자의 교섭력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극한용, 탐사용, 군사용 등 응용범위의 확대에 따라 중소업체 중심으로 대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경쟁체제를 함께 이루어 가려고 시도하고 있다.


넷째, 현재 국내외적으로 관련 특허의 출원이 계속 늘고 있는 상황이어서 잠재적 진입자의 진입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국내외 기술개발로 대체재 출현의 가능성은 배제하기 어렵지만, 현재로서는 어느 정도 대체재의 위협은 낮은 편으로 판단된다.

 

 

구분(억원)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생산

1,600

2,176

3,781

4,860

5,775

6,926

8,311

수출

970

1,172

1,834

2,354

3,110

3,963

5,033

수입

4,456

4,565

4,058

3,955

4,148

4,377

4,457

국내시장*

5,086

5,569

6,005

6,464

6,831

7,430

7,735

<표1>지능로봇산업의 국내 생산동향

 

 

 

구분

05

07

10

20

국내시장규모(억원)

1.025

1.160

25.000

400.000

<표2>지능로봇 센서시장 규모

* 국내 지능로봇 시장을 바탕으로 07까지는 15%를, 10년은 25%를, 20년은 40%를 지능로봇의 센서시장이 차지할 것으로 예측

출처: 2007산업기술동향분석(지능형로봇의 시각시스템 기술), 2007.12

 

 

 

 

2. 시장규모 및 시장분석

 

배관탐사용 로봇시스템을 포함하는 지능형 로봇산업의 국내 동향을 보면, 주요 부품의 경우 현재까지 상당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배관탐색용 로봇의 경우 배관 내 검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배관 내 자유로운 이동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그 다음으로 목적물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일이다.

 

따라서 인식분야에 속하는 센서는 로봇시스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배관탐색용 로봇의 경우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하수도 및 각종 산업 파이프를 고려하면 이미 시장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교체해야 할 중요한 배관의 경우는 이와 같은 로봇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종래의 도시가스관, 상하수도, 석유화학 플랜트관, 열병합 발전소에 사용되는 증기관 등은 우리 생활에 밀접한 관련을 갖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가연성 가스와 같은 위험한 물질이 내부를 유동하는 배관 등에 있어서, 이들의 파손에 따른 재해는 수많은 인명 및 재산의 손실과 자연환경의 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설비는 설계, 시공, 운전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성능의 저하를 항상 검사 및 진단하여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표 3>을 보면, 산업용 로봇이 아직은 절대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 <표 4>를 보면 센서류를 포함하여 모터, 감속기 등 아직은 수입 의존도가 높다.

 

특히 감속기와 같이 중요한 부품의 조달이 50% 내외로 해외로부터 조달받고 있는 실정이다.

 

모터와 감속기는 로봇의 이동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성능 구현조차도 아직은 상당부분 외산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시장이 아무리 커지더라도 업체의 수익 면에서는 매출과 비례한다고 볼 수 없다.

 

응용분야의 확대도 좋지만, 기본적인 부품소재의 국산화가 무엇보다 절실하며, 이의 실현정도가 국내시장 규모의 확대 및 관련업체의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표 5>를 통해 보면, 지능형 로봇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시각인식부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인공지능센서가 차지하는 규모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표 4>를 보면, 센서부품도 아직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표 5>를 통해 추정하면, 시각시스템이 지능형 로봇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함으로써, 이에 따라 극한용, 탐색용, 군사용 등의 점유율 역시 20% 그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아 시장성은 매우 무한하다 할 것이다.


<표 6>에서 선진국과의 기술수준을 비교해 보면, 시각시스템 분야는 매우 취약하다. 감지기술, 즉 가장 핵심적 분야라 할 수 있는 센서 분야는 아직도 매우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구분

03년

04년

05년

매출(억원)

비중(%)

매출(억원)

비중(%)

매출(억원)

비중(%)

로봇관련사업

246.0

12.1

397.7

14.4

596.0

13.6

산업용 로봇

1,685.4

82.8

2,204.1

79.5

3,285.5

75.0

서비스 로봇

104.7

5.1

169.4

6.1

498.8

11.4

합계

2,036.1

100.0

2,771.2

100.0

4,381.2

100.0

<표3>연도별 지능형 로봇의 산업매출현황

출처 : 한국지능로봇산업협회,2006

 

 

로봇

03년

04년

05년

모터

29.0%

27.5%

27.3%

감속기

61.5%

54.9%

47.4%

인공지능센서

0%

6.8%

9.4%

기타

9.5%

10.8%

15.8%

<표4>로봇관련 부품 연도별 수입 현황

*지능로봇 관련 전체 수입 대비 해당 부품의 수입비중

출처 : 로봇산업조사통계, 2006

 

 

구분

06년

07~10년

서비스로봇 시장

7,188백만불

8,222백만불

시각시스템 시장

1,078백만불

1,644백만불

<표5>지능로봇 시각시스템 세계 시장규모

*06년까지는 지능로봇 시장의 15%를, 07~10년은 평균 20%를 시각시스템 시장으로 예측함(지능로봇 사업기획단(04)의 예측치를 근거로 함)

 

 

Vision chip기술

어레이 기반

패턴인식기술

감지기술

HRI

매니퓰레이션

50%

25%

35%

30%

<표6>선진국대비 국내기술수준

출처 : 차세대 지능로봇 핵심기술2006

최혜진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