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82인치 120Hz UD급 LCD패널 개발
멀티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패널 중 업계 최대 크기
삼성전자가 SID에서 업계 최초로 82인치 UD급(Ultra Definition, 3,840×2,160) 120Hz TV용 LCD패널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미래형 TV용 패널 표준을 제시하고 향후 디지털 방송의 진화와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할 초고화질 TV용 패널 시장 선도에 나선다.
이번에 선보이는 120Hz 제품은 기존 60Hz 제품보다 2배의 속도인 초당 120장의 화면을 LCD 패널에 재생하여 동화상 번짐 현상을 대폭 개선하였다.
또한 LED 백라이트를 적용하여 일반 CCFL (냉음극관,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백라이트 기준 72%인 색재현성(NTSC 기준)을 150%까지 2배 이상 개선하였다.
UD급(3,840×2,160) 해상도는 일명 4k×2k 라고도 불리는 해상도로, 풀HD(1,920×1,080)보다 4배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초고해상도를 말한다.
UD는 풀HD에서 표현 가능한 약 200만 화소의 4배인 약 800만 화소를 표현하며 유럽과 일본 등에서 차세대 방송 표준으로 정하고 적극적인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82인치 UD급 LCD패널을 사용하여 멀티 터치 LCD 전자칠판 (e-Board)도 전시하여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선보인 e-Board는 멀티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패널 중 업계 최대 크기이다.
이 제품은 초정밀 UD급 해상도를 적용하여 공공장소와 상업용 매장에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 최상의 디스플레이로 평가받고 있다.
>>> 지식경제부
2017 “디스플레이 최강국 KOREA” 달성을 위한 비전과 발전전략 마련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 디바이스로 성장
지식경제부(장관 이윤호)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회장 이상완)는 5월 15일 메리어트 호텔에서 디스플레이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디스플레이산업 발전전략 보고회 및 비전 결의대회’를 개최하였다.
금번에 수립된 발전전략은 지난 10월부터 산·학·연·관 전문가 50여명이 참여하여 향후 10여년을 내다볼 수 있는 비전과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또한, 금일 행사에서는 삼성-LG 양사가 대기업간 협력을 위해 그동안 업계의 숙원이었던 패널 교차 구매 성사를 위해 적극 추진키로 하였다.
우선, 삼성전자 VD사업부가 37″ 모듈을 LG디스플레이로부터 구매하고, 52″ 모듈은 삼성전자 LCD총괄이 LG전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 추진하기로 하고 금년 7월까지 양사가 협의하여 결정할 예정이다. 향후 삼성전자 LCD총괄과 LG디스플레이 패널업체간 모듈 또는 셀에 대한 상호 교차 구매도 긍정적으로 검토, 추진하기로 하였다.
양사간 패널 교차구매가 성사되면, 수입을 국내로 전환하여 무역수지가 개선되고 국내업체간 거래수요 확대로 국내 투자가 활성화되는데 기폭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번 발전전략은 2017년 ‘디스플레이 최강국 KOREA’ 달성을 위해 수출 1,000억불, 세계시장 점유율 45%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썬파워
1.4MW 태양광발전소 완공
함평 쏠라 플러스가 소유… 매년 180만 kWh의 전력생산
고효율 태양전지, 태양광 모듈,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제조사인 썬파워사(Nasdaq: SPWR)는 함평시에 새로운 1.4 MW 태양광 발전소 설계 및 시공을 완공했다고 발표했다.
썬파워사와 이앤이 시스템에 의해 완공된 이 태양광발전소는 함평 쏠라 플러스가 소유하며 매년 180만 kWh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함평 쏠라 플러스는 썬파워의 최고효율 태양광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이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재정적·환경적 장점 모두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앤이 시스템과 더불어 함평 쏠라 플러스는 계속적으로 증대하는 신재생 에너지의 수요에 대해 앞서 실천하는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라고 썬파워사의 배성규 지사장은 말했다.
이번 시스템에는 기존 태양광 모듈에 비해 50%까지 효율성이 높은 썬파워의 태양광모듈이 사용되었으며, 하루 종일 태양빛의 따라 움직임으로써 일반 고정식 시스템에 비해 일일 에너지 출력량이 현저히 높은 SunPower Tracker가 함께 사용되었다.
썬파워사는 현재 한국에서 여러 분야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동양제철화학과 장기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동양제철에서 공급받는 폴리실리콘으로 단결정 실리콘 잉곳을 제조하는 웅진 그룹과의 합작법인에도 투자해왔다.
또한 함평 태양광발전소 외 전주 2MW, SP태양광발전소 2.2MW, 광주 1MW 시스템까지 세 시스템을 완공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