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산업은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유망산업이다.
산업자원부는 2020년 세계 로봇시장의 규모를 약 1조4천억달러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에 로봇산업을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한분야로 선정하고 다양한 관련 정책을 추진중에 있다. 로봇산업은 기계, 제어, 전기/전자 등이 융합된 기술의 종합산업이라 할 수 있으며, IT(정보통신), BT(생명공학), NT(초정밀원자세계) 등 첨단산업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산업이기도 하다.
로봇은 크게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 산업용로봇 생산규모는 약 63조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에 비하여 서비스용로봇의 생산규모는 약 4조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산업용로봇 분야는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아, 삼성전자, 두산메카텍 등 대기업이 시장을 리드하면서 최근 업체들의 사업다각화를 통하여 장기간의 침체기를 다소 벗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반하여 서비스 로봇은 대부분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개발 및 생산이 이뤄지고 있어 사업 규모가 영세할 뿐만 아니라 기술 및 투자 여력도 부족한 현실이며, 겨우 청소로봇 부분만 작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당사는 국내 로봇산업의 시장동향과 관련업체들의 마케팅전략, 제품동향, 기술동향, 특허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또한 세계 로봇시장의 28%의 점유율로 세계 1위의 기술강국으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 로봇산업을 면밀히 조사·분석하였다.
데이코산업연구소 소개
데이코산업연구소는 1993년 창립한 이래 산업조사 분석 및 마케팅 시장조사, 소비자 수요조사 및 고객만족도 조사, 상권분석 및 유통채널 분석 등 산업 전 분야에 대한 전문 정보서비스 기업으로 관련업계의 정보니즈에 대응하는 종합적인 산업정보 제공을 목표로 사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데이코산업연구소의 14년간 축적된 풍부한 데이터와 정보네트웍, 조사실적을 통해 구축한 자료들은 시장조사 보고서 및 분야별 연감 및 백서, 단행본, 정기간행물의 형태로 클라이언트와 만나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서도 서비스되고 있다. 또한 기술교육 및 세미나, DB컨텐츠 개발에도 다양한 실적을 확보하고 있으며, 온라인 리서치를 통한 신속한 조사 분석과 국내외 제휴선을 통한 해외정보 수요에도 대응하고 있다. 특히 자체 중국실(북경)과 일본실을 운영, 아시아 경제를 넘어 세계경제의 중심축을 구축한 일본과 중국의 산업과 시장 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언론문의처 : 데이코산업연구소 산업조사실 김승훈 과장, 02-786-4554, 010-6422-3091, idaco@naver.com
출처 : 데이코산업연구소
홈페이지 : http://www.dacod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