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리콘밸리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이후 미래기술분야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 주목하고 있다. 반복, 규칙만을 인식하던 로봇이 신경망을 활용한 ‘딥러닝’으로 인지적 능력을 수행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보편화된 모바일 플랫폼과 인지적 능력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인공지능 출시로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1. 시장규모
Startup Angel List는 인공지능 스타트업(Startup) 전체 기업 가치를 440만 달러로 추산(2015년 3월 기준)했다.
이는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에서 지난 해외시장정보(2014년 5월 11일)를 통해 밝힌 인공지능 기업가치 총액인 350만 달러보다 약 25%가 증가한 수치이다.
인공지능분야에는 현재 약 316개의 스타트업, 2,700여 명의 벤처투자가, 70여 개의 직업군이 존재하며, 음성인식, 이미지 인식, 언어인식을 제시하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맞춰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특히 인공지능 신생기업인 Clarifai, Madbits, LookFlow 등은 모바일 기반의 새로운 플랫폼을 제시했다.
2. 인공지능 관련 미국 주요 기업 동향
▶ IBM
10억 달러를 투자해 자연어 분석 및 금융과 의료부분 질의응답에 특화된 ‘Watson’을 자체 개발
▶ Microsoft
프로젝트 ‘ADAM’은 시각적 정보로 영상 인식 지능을 개발하고, 신경망을 이용해 스스로 학습하는 프로젝트 연구 중
- 음성인식 프로젝트 ‘Cortana’ 출시 등 딥러닝 기술력 공개
▶ Baidu
세계 2위 검색엔진 업체로 실리콘밸리에 딥러닝 연구소를 설립하고 3억 달러 투자
- 현재 음성인식과 증강현실의 첨단기술을 개발 중이며, 최근 방위산업분야에 역점을 두고 연구 중(2015년 3월 25일 South China Morning Post 보도)
3. 벤처캐피털의 시각으로 본 인공지능
지난 해 벤처캐피털 투자유치에 성공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벤처기업의 개발 분야는 자연어 분석, 이미지 인식, 빅데이터 기반 분석 등 다양하다.
투자 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은 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투자자는 인간처럼 사고하는 인공학습능력 개발업체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4.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투자로 연결됨으로써 기술 상용화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은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현재까지는 무인자동차, 의료(진단 분야), 교육, 국방, 재무분석, 서비스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AI BRAIN 사례
AI BRAIN은 2012년 설립된 실리콘밸리 신생기업으로 음성인식 기술과 인공지능 학습추론 기술을 모바일 플랫폼에 통합한 학습용 제품 ‘타이키’를 출시했다. 타이키는 다양한 캐릭터로 사용자의 목소리 변화 및 감성을 인지한다. 안면 인식, 설정 방향으로 이동, 표정 변화로 인한 다양한 반응을 하는 인공지능 로봇으로, 지난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혁신상을 수상해 투자가 및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올해 7월 정식 제품을 온라인을 통해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지능로봇 전문기업 (주)보나비젼을 통해 알파버전이 기 공개된 바 있다.
5. 시사점
대부분의 인공지능 스타트업은 개발 초기단계로 관련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기업은 특허출원 등 관련 원천기술 보호 및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현재 일반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인공지능 응용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가격이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앱 형태의 인공지능 제품도 별도 하드웨어와 결합될 경우 일반 소비자가 쉽게 구매하기에는 가격 수준이 높다.
이에 타깃 고객층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적절한 가격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궁극적인 미래기술로서의 인공지능은 사물인터넷만큼 파괴적일 수 있는 바, 향후 업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해 현지의 전시회나 컨퍼런스 등을 통해 업계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정보수집 채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격 경쟁력을 위해 장기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시 부가가치 창출 및 내수 산업의 경제적인 효과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이 요구된다.
KOTRA 글로벌윈도우 www.globalwindow.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