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중국 스카라 로봇, 연평균 48.8% 고속 성장 스마트팩토리 도입과 함께 증가하는 산업용 로봇 수요 최난 기자입력 2020-11-30 10:10:11

중국 내 시장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도입이 활성화되면서 스카라 로봇(SCARA)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부품은 기술력 부진 등의 문제로 인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국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기업들은 기술 제휴와 더불어 합작 투자 및 해외시장 공동 개척 등을 추진하며 기회를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산업용 로봇 도입 증가
중국에서는 노동 인구 감소 및 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생산 현장에 산업용 로봇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카라 로봇은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내에 다관절 로봇(68%) 다음으로 높은 점유율인 21%를 차지한다. 이 로봇은 주로 자동차, 반도체, 모바일, 통신 및 가전, 식약품 등의 제조업에 적용되고 있다.


중국 스카라 시장 규모는 지난 2014년 약 3억 위안(한화 약 500억 원) 규모에서 2019년 기준 16억 위안(한화 약 2,700억 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48.8%의 급속 성장세를 기록했다. 중국 가오궁 산업연구원(GGII)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특히 3C 시장(컴퓨터, 통신, 생활가전)의 스마트화로 스카라 로봇의 수요가 지속 확대됨에 따라, 오는 2023년 기준 스카라 로봇의 중국 내 판매량이 약 5만 2,000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스카라 로봇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자료. 터우바오연구원


2. 핵심 부품은 수입에 의존 
한국무역협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년 중국 스카라 로봇 수입액은 약 7,045만 달러에 달한다. 최대 수입국은 같은 해 기준 약 1,381만 달러 규모를 기록한 독일로 전체 수입액의 약 19.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 수입 통계의 경우 2019년 수입액이 전년 대비 9% 증가한 약 721만 달러로, 전체 수입시장에서 10%의 비중을 보이며 독일, 일본 다음의 수입국 중 3위를 기록했다.

 


스카라 로봇을 구성하는 4대 핵심 부품에는 모션 컨트롤러(제어기), 서보 드라이브, 서보 모터, 감속기가 있다. 해당 부품은 전체 로봇 생산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감속기의 원가 비중이 약 30%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중국 로컬 기업들은 지속적인 R&D 투자와 공급선 다변화 추진으로 서보 드라이브, 서보 모터, 제어기 부분에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중국산 국산화 교체를 실현하고 있다.


다만 감속기 부품의 경우 여전히 일본, 독일 등 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3. 중국 스카라 로봇 시장 발전 트렌드

 

1) 경량화 & 정밀화에 집중하다 
다양한 제조 환경에서 자동화 설비의 도입이 확대되고 작업 프로세스가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스카라 로봇 개발의 방향도 경량화와 정밀화에 집중되고 있다. 특히 주요 핵심 부품의 감속기의 체적과 무게를 경감해 로봇 그립을 보다 정밀하고 유연하게 하는 연구 개발이 한참 진행 중이다.


또한 정밀화의 경우 매트랩(MATLAB) 에뮬레이터, ADMAS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해 로봇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측정을 분석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발, 작업 환경에서의 로봇 오작동 및 오차범위를 최소화하는 방향에 주력하고 있다.


2) 로봇과의 데이터 공유 효율화 추진 
현재는 모든 제조공정을 로봇으로 무인화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며, 사람이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스마트팩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운영하는 로봇과 데이터를 공유해서 문제가 발생하면 빠르게 문제를 공유 및 해결하는 데에 있다. 특히 산업용 로봇에 흔히 적용되는 교시(Teaching) 분야에 있어 스마트화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기존 교시작업에 사용됐던 티칭 팬던트의 경우 어려운 프로그램 용어를 기반으로 신호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진행됐다면, 최근에는 스마트 태블릿 기기가 응용된 시각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화면을 활용하고 있어 초급자도 쉽게 계량화된 데이터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사진. delta

 

3) 중국 로봇기업 사례

 

 

 

4. 시사점
스카라 로봇은 높은 정밀도, 효율 및 속도 등을 특징을 갖고 있어, 모바일 기기와 가전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자동화 설비로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술적인 격차로 인해 수입 제품이 하이엔드 시장을 대다수 독점하고 있으며, 중국 전체 스카라 로봇 시장의 약 56%가 수입산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정책적 지원을 기반으로 중국 로컬 스카라 로봇의 연구 개발과 보급을 확산, 오는 2025년에는 국산화율이 약 75%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의 현지 로봇 생산 기업 관계자는 “현재 중국 스카라 로봇 시장은 수많은 로컬 기업들이 저가 제품을 출시하면서 가격 경쟁력이 매우 치열한 상황”이라며, “시장의 포지션을 확고히 할 수 있는 요소는 품질 및 성능 개선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중국은 기술력 부진 등의 문제로 로봇 주요 부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확산과 함께 스카라 로봇의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술 제휴와 합작 투자 및 해외시장 공동 개척 등 다양한 분야를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난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
  • 자동등록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