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보기

독일 전문가로부터 듣는 ‘인더스트리4.0’ 이야기 이성운 기자입력 2017-07-04 14:32:25

4차 산업혁명은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산업을 양산해낼 뿐만 아니라 사출, 금형 등 기존의 뿌리산업에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에 독일 인더스트리4.0에 대해 좀 더 깊이 이해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해 핵심 산업협회 중 하나인 독일전기전자산업협회(ZVEI) 관계자와 이야기를 나눴다.

※ 자료 : KOTRA 해외시장동향

 

Q. 독일 인더스트리4.0과 High-Tech Strategy 2020은 어떤 관계인가.
A. 인더스트리4.0은 2006년에 시작된 미래 하이테크 전략의 한 부분이었다. 이른바 ‘미래를 바라보는 프로젝트’이다. 하지만 이제 인더스트리4.0은 더 이상 미래 프로젝트가 아니다. High-Tech Strategy는 독일 교육연구부(BMBF)가 주도하고 있는 범 정부차원의 프로젝트로 정부 예산 지원을 받는 여러 주제와 다양한 계획으로 구성돼 있다.

 

국가기술발전 종합 계획(High-Tech Strategy)
하이테크전략(High-Tech Strategy)은 2006년 8월 독일연방교육연구부(BMBF) 주도로 정부, 연구소,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여 및 수립한 범정부 차원의 혁신기술발전 마스터플랜으로 이후 몇 차례 수정 보완됐다. 이에 2012년 10월 인더스트리4.0이 ‘High-Tech Strategy 2020’ 10대 미래 프로젝트의 하나로 편입됐다.


<High-Tech Strategy 목표>
- 세계적인 혁신 선도국가로의 이정표 제시
- 좋은 아이디어를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상품화
-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을 통한 국가 번영과 삶의 질 개선
- 선도 산업 국가 및 수출 강국으로서의 입지 강화
- 시대적인 도전 과제에 대한 창조적인 해결책 제시

 

Q. 독일 인더스트리4.0 비전 실현하는데 독일 정부의 역할은.
A.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BMWi)는 연구개발(R&D) 지원에 있어 두 번째 키 플레이어이다. 인더스트리4.0은 분명히 독일 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BMBF와 경제에너지부는 인더스트리4.0 발전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BMBF가 전반적인 기초 연구에 중점을 두는 반면, BMWi는 시장 접근형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BMWi의 인더스트리4.0 관련 자금 지원은 주로 ‘Autonomics’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인더스트리4.0 추진 조직인 ‘플랫폼 인더스트리4.0(Plattform Industry4.0)’은 처음에는 BMWi 산하 기구로 설립됐지만, 이제는 BMWi와 BMBF 두 중앙 부처가 관여 및 리드하고 있다.


Q. 산업협회(ZVEI, VDMA, BITKOM)와 클러스터, 연방정부, 주정부, 기업, 연구기관들의 역할과 상호 관계는.
A. 기업들이 인더스트리4.0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들은 기술, 솔루션을 개발하고 구현한다. 산업 협회는 원칙적으로 회원사들의 이익을 대변한다. BITKOM은 IT 산업분야를 대변하고, VDMA는 기계산업, ZVEI는 전기전자산업분야 기업들의 이익을 대변한다.
이 3개의 산업협회가 플랫폼 인더스트리4.0 설립을 주도했다. R&D 기관들은 각 기관들의 설립 취지에 따라 운영되며, 기초 연구 수행자로서 또는 정부 자금 지원을 받는 공동 프로젝트 연구 참여를 통해 인더스트리4.0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
클러스터는 정부 지원을 받아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이 이미 존재하는 지식, 자원을 기반으로 산업(기업), 연구기관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기업, 연구소가 서로 밀접하게 특정 기술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지역이 있다면, 클러스터 설립을 신청하고, 정부 자금 지원을 받아 기술이전,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강화할 수 있다. 독일 인더스티리4.0 관련 가장 대표적인 클러스터는 ‘it's OWL’이다.
정부는 대부분 연구, 기술혁신 프로젝트 자금 지원을 통해 인더스트리4.0 분야에 핵심 주체로 참여한다.

 

 

Q. 인더스트리4.0 관련해 가장 중요한 법적 이슈는.
A. 인더스트리4.0 관련해 여러 법적 이슈가 있지만, 확실히 데이터보호(Data Protection)와 책임 문제(Liability)가 중요 이슈이다. 법적 책임 문제는 독일 관점의 문제이다. 또한 다른 중요 이슈는 데이터 소유권 또는 데이터 사용 및 보호 문제이다. 아직 논의 초기 단계로 이들 법적 이슈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없다. 플랫폼 인더스트리4.0 내에 법적 이슈를 다루는 실무그룹(Working Group)이 있지만 아직 간행한 자료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Q. 다음 몇 가지 사례는 한국의 대선 과정에서 아이디어로 제시된 정책 방안들이다. 한국 정부가 인더스트리 4.0을 추진하는데 있어 염두에 둬야할 점은.

A. - 사물인터넷망 1등 국가 : 사물인터넷망 세계 일등은 야심찬 목표이다. 한국은 지난 수십 년간 자신이 목표로 한 것들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타당한 방법으로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인공지능산업 투자 강화 : 확실히 인공지능은 공장 자동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 초등 교육 소프트웨어교육 강화 : 원칙적으로 동의한다. 하지만 IT에 도움이 되는 전통 교육, 즉 언어, 자연, 사회 교육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결국 모든 교육은 인간이 자신의 지식, 재능, 개성을 통해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독일·유럽 관점에서 말하는 것이다.


- 공공 빅데이터센터 구축 : 무엇을 위해서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해야 하는지, 빅데이터 센터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실제 빅데이터 센터가 필요한지 우선 검토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관료적인 비용이 많은 공공기관보다는 민간기업이 더 잘 준비돼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부가가치 창출할 수 있다면 공공기관이 맡는 것도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유럽에도 유사한 ‘European Cloud Initiative’가 있다. EU 집행위가 2016년 4월 발표한 빅데이터 혁명 시대에 과학, 비즈니스 및 공공서비스 부문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및 세계 정상급 데이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청사진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초대형 데이터센터 구축, 유럽형 슈퍼컴퓨터 개발 및 배치, 데이터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나 조달할 수 있는 첨단 칩 등을 구입해서 그런 장비와 시스템을 개발, 구축하는 것이 어떤 이익이 있을지 자문했을 때 아직은 설득력 있는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성운 기자
로봇시대의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로봇기술 뉴스레터 받기
전문보기
관련 뉴스
의견나누기 회원로그인
  • 자동등록방지